View on GitHub

eureka-253-team-e25-ai01-17

2025-2-1-eureka-template-3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view Assignment Due Date

Welcome to 17팀

1️⃣ 팀원 소개

이름 전공 관심사
고은호 인공지능전공 해외인턴, 인공지능, AI 응용
김민채 인공지능전공 해외인턴, 알고리즘, 인공지능
최윤호 인공지능전공 인공지능, 문학, 철학
허다연 인공지능전공 인공지능, 여행

팀 슬로건

열정으로 모이고, 성과로 증명한다! 17팀.

팀 소개

17팀은 인공지능과 글로벌 경험에 관심을 둔 열정적인 사람들이 모여, 협력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함께 성장하며 성과를 만들어가는 팀입니다.


2️⃣ 공통된 관심사 : 여행, 백엔드, 인공지능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3주차 활동: 과거 사람들이 생각한 미래

Team Mission 1

느낀점 | 이름 | 의견 | |———-|———-| | 최윤호 | 사람은 근본적으로 자신이 속한 시대의 상식과 논리를 벗어나기 힘들어하는데도, 오로지 상상력의 힘으로 약 50년의 시간을 뛰어넘은 미래의 모습을 예측한 이정문 화백의 통찰력이 감탄스러웠다. | | 고은호 | 1965년에 상상했던 미래가 실제로 오늘날 많은 부분에서 실현된 것을 보면서, 지금은 단순히 꿈처럼 보이는 기술들도 언젠가는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이를 통해 현재 발전 중인 기술들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 또한 어떤 부분에서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되었다. 앞으로는 나의 능력을 꾸준히 발전시켜 이러한 미래 기술을 실현하는 데 기여를 하고 싶다. | | 허다연 | 과거에 상상만 하던 기술들이 현재 실현되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이 꿈꾸고 있는 기술들이 미래에 언젠가 실현되어있을 것이라는 기대감과 앞으로의 더 획기적인 무궁무진한 발전을 향한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 | 김민채 | 정확히 60년 만에 그림에 나온 기술 10개 중 6개가 상용화 되었다. 어쩌면 40년 뒤에는 나머지 4개의 기술들이 상용화 될지도 모르겠다. 지금와서 보면 굉장히 오래 되었다고 생각한 기술이 생각보다 최신 기술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60년은 한 사람의 일생의 일부분인데 이때 태어난 사람들은 정말 세상이 뒤집힌 듯한 느낌을 받을 것 같다. 2085년에는 또 한번 세상이 뒤집힐지도 모르겠다. |

Team Mission 2

느낀점

이름 의견
최윤호 과거에 기술적으로 구현은 가능했으나 상용화가 불가능했던 기술들이 오늘날에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라는 사실을 보니, 지금은 제한적으로만 구현가능한 기술인 완전히 투명한 유리 디스플레이를 통한 ar구현이나, 홀로그램을 통한 여러가지 기술들도 미래에는 상용화가 될 수 있을것 같다는 기대감이 들었다.
고은호 마이크로소프트나 코닝과 같은 회사들이 미래의 생활 모습을 예측하고, 그 속에서 자사의 기술과 상품을 어떻게 적용하고 판매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을 보았다. 이를 통해 나 역시 미래를 상상해 보고, 그 속에서 내가 맡을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일지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그 역할을 성취하기 위해 스스로 끊임없이 발전한다면, 언젠가는 미래의 중요한 분야를 이끌어갈 수도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느끼게 되었다.
허다연 상상 속에 머물던 기술이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실제가 된 것을 보며, 인간의 창의력과 끊임없는 도전 정신이 얼마나 위대한지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인공지능, 자율주행, 가상현실 같은 것들이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발전의 힘을 실감했다.
김민채 과거 사람들은 미래를 많이 기대한 것 같고 현재는 과거 사람들의 기대에 많이 부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기대하는 미래와 실제 미래와의 차이가 얼마나 클지 모르겠지만 하늘을 날아 다니는 자동차와 우주여행 상용화는 꼭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적당히 일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AI를 전공하고 있지만 AI가 내 전공 관련 일자리를 뺏어가면 어쩌나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4주차 활동: 상상의 현실화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경하였나요??

MIT Sixth Sense Project 팀이 만든 내용이 현재에는 어떠한 장비로, 어떻게 구현이 되었을까?

느낀점

이름 의견
최윤호 약 15년전에 현실 세계와 디지털 세계 사이의 물리적인 한계를 초월하여 일상의 모든 부분에서 디지털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모션인식만으로 상호작용을 수월하게 한다는 아이디어를 직접 실현해내는 기술력과 열정이 대단하게 느껴졌다.
고은호 2009년 당시에는 식스 센스 프로젝트 기술이 일반 사람들에게는 아주 먼 미래의 기술처럼 느껴졌고 언젠가 누군가가 상용화해 주기를 막연히 기다렸던 것 같다. 하지만 누군가가 분명한 비전을 가지고 끊임없이 연구하며 발전시킨 덕분에 현재 우리는 그 일부를 실제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정을 떠올리니, 나 또한 문제점을 발견했을 때 단순히 미래를 기대하며 기다리기보다 지금 당장 해결책을 모색하고 실천해 나갈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허다연 우리가 매일 사용하던 물리적인 키보드와 마우스, 고정된 디스플레이가 더 이상 필수적인 인터페이스가 아닐 수 있다는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런 기술이 일상에 스며든다면 우리가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공간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는 세상이 올 것 같다.
김민채 창작은 현실을 기반으로 한다는 말의 반례였던 sf 장르를 정복할 날도 머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지긍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기술이 현실에 나오게 될 때 쯤에는 어떤 기술이 창작물에 등장하게 될지 궁긍하다. 어쩌면 현실도 창작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할지도 모르겠다.


4️⃣ 인상 깊은 활동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Image](src)

-------------------------------
# 3주차 활동: 과거 사람들이 생각한 미래 
## Team Mission 1
- 과거 만화 속에서만 예측되던 태양열, 전기자동차, 로봇청소기, 인터넷 강의, 스마트폰 영상통화, 스마트 냉장고,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는 이제 우리의 일상 속에서 현실로 자리 잡았다.

***느낀점***
| **이름** | **의견** |
|----------|----------|
| **최윤호** | 사람은 근본적으로 자신이 속한 시대의 상식과 논리를 벗어나기 힘들어하는데도, 오로지 상상력의 힘으로 약 50년의 시간을 뛰어넘은 미래의 모습을 예측한 이정문 화백의 통찰력이 감탄스러웠다. |
| **고은호** | 1965년에 상상했던 미래가 실제로 오늘날 많은 부분에서 실현된 것을 보면서, 지금은 단순히 꿈처럼 보이는 기술들도 언젠가는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이를 통해 현재 발전 중인 기술들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 또한 어떤 부분에서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되었다. 앞으로는 나의 능력을 꾸준히 발전시켜 이러한 미래 기술을 실현하는 데 기여를 하고 싶다. |
| **허다연** | 과거에 상상만 하던 기술들이 현재 실현되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이 꿈꾸고 있는 기술들이 미래에 언젠가 실현되어있을 것이라는 기대감과 앞으로의 더 획기적인 무궁무진한 발전을 향한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
| **김민채** | 정확히 60년 만에 그림에 나온 기술 10개 중 6개가 상용화 되었다. 어쩌면 40년 뒤에는 나머지 4개의 기술들이 상용화 될지도 모르겠다. 지금와서 보면 굉장히 오래 되었다고 생각한 기술이 생각보다 최신 기술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60년은 한 사람의 일생의 일부분인데 이때 태어난 사람들은 정말 세상이 뒤집힌 듯한 느낌을 받을 것 같다. 2085년에는 또 한번 세상이 뒤집힐지도 모르겠다. |



## Team Mission 2
- 세 개의 영상 속에서 미래의 모습으로 제시되었던 자율주행자동차, 태블릿, 냉장고와 자동차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칠판, 투명 디스플레이, 포켓몬 고, 삼성페이와 같은 휴대폰 결제, 증강현실 기기, 폴더블 디바이스, VR 기기 등이 오늘날 실제로 실현되었다.


***느낀점***

| **이름** | **의견** |
|----------|----------|
| **최윤호** | 과거에 기술적으로 구현은 가능했으나 상용화가 불가능했던 기술들이 오늘날에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라는 사실을 보니, 지금은 제한적으로만 구현가능한 기술인 완전히 투명한 유리 디스플레이를 통한 ar구현이나, 홀로그램을 통한 여러가지 기술들도 미래에는 상용화가 될 수 있을것 같다는 기대감이 들었다. |
| **고은호** | 마이크로소프트나 코닝과 같은 회사들이 미래의 생활 모습을 예측하고, 그 속에서 자사의 기술과 상품을 어떻게 적용하고 판매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을 보았다. 이를 통해 나 역시 미래를 상상해 보고, 그 속에서 내가 맡을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일지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그 역할을 성취하기 위해 스스로 끊임없이 발전한다면, 언젠가는 미래의 중요한 분야를 이끌어갈 수도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느끼게 되었다. |
| **허다연** |상상 속에 머물던 기술이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실제가 된 것을 보며, 인간의 창의력과 끊임없는 도전 정신이 얼마나 위대한지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인공지능, 자율주행, 가상현실 같은 것들이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발전의 힘을 실감했다. |
| **김민채** | 과거 사람들은 미래를 많이 기대한 것 같고 현재는 과거 사람들의 기대에 많이 부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기대하는 미래와 실제 미래와의 차이가 얼마나 클지 모르겠지만 하늘을 날아 다니는 자동차와 우주여행 상용화는 꼭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적당히 일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AI를 전공하고 있지만 AI가 내 전공 관련 일자리를 뺏어가면 어쩌나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


----------------------------------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