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on GitHub

eureka-253-team-e25-ai01-05

2025-2-1-eureka-template-3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view Assignment Due Date

Welcome to ○팀

1️⃣ 팀원 소개

이름 전공 관심사
유환희 인공지능전공 빅데이터, 인공지능, 헬스
얄공 인공지능전공 게임하기, 기타치기
한윤성 인공지능전공 운동, 노래듣기, 영화보기기
조유섭 인공지능전공 운동, 스타트업, 인공지능
박민영 인공지능전공 웹툰보기, 영화보기, 노래부르기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 생성을 축하합니다.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의 제목과 팀원의 이름 및 관심사를 변경하세요.

팀 슬로건

Code the future.

팀 소개

인공지능 5팀입니다.


2️⃣ 공통된 관심사 : 여행, 백엔드, 인공지능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첫 번째 활동

1 (1965년, 서기 2000년대 생활의 이모저모)

얄공

유환희

박민영

조유섭


2 (과거 사람들이 생각한 미래를 영상 3개 보고 쓴 것)

얄공

유환희

박민영

조유섭


두 번째 활동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

Why?

What?

How?

As-Is vs To-Be

발전된 모습


세 번째 활동

유환희

1. 도로 위 AR표시, 실시간 교통/미세먼지/에너지 흐름이 건물 표면에 데이터로 떠있는 3D 디지털 도시.

2. 드론을 이용하여 교통혼잡에 영향을 받지 않고 빠르게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플라잉 앰뷸런스.

3. 손 대신 생각으로 커서를 움직여 문서 편집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업무

4.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가 책상 위에 3D앱들을 띄워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창을 잡아당겨 이용할 수 있는 센서리스 제스처 디스플레이

5. 드로잉 프롬포트: “가로형 이소메트릭 도시 파노라마. 전경 왼쪽엔 눈에 기억칩을 이식한 커플이 TV 드론으로 5분 전 대화를 재생하며 말다툼, 오른쪽 보도엔 ‘나’가 뇌 속 신경칩으로 날씨 정보를 바로 확인. 중앙 도로와 건물 표면에는 실시간 교통·미세먼지·에너지 흐름 AR 데이터가 떠 있고, 오른쪽 건물 2층 단면에서는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위 3D 앱들을 손가락 미세 제스처로 정렬, 옆자리 사람은 BCI로 커서를 생각으로 조작. 상공에는 eVTOL 플라잉 앰뷸런스가 버티포트에 착륙하며 보조 드론이 응급 키트를 전송. 먼 하늘 왼쪽엔 날씨 제어 타워가 구름을 배열하고, 오른쪽엔 궤도 환승 링과 소형 셔틀이 점선 항로로 오간다. 보도에는 블록체인 행정 키오스크가 시민 노드로 작동. 따뜻한 오렌지/목재와 차가운 민트/네온 HUD의 대비, 손글씨 주석이 곳곳에 배치된 이정문식 유머·교육 톤.”

Gemini_Generated_Image_wza4cuwza4cuwza4

조유섭

1. 세상에 모든 거래와 행정이 블록체인 기반 → 2040~2050년의 미래에는 세상의 모든 거래와 행정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금융, 부동산, 세금, 병원 기록 등 모든 정보가 투명하게 기록되어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사람들은 정부나 은행을 거치지 않아도 서로 직접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려면 초고속·저비용의 블록체인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동시에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강력한 암호화 기술과 국가 단위의 디지털 신원 인증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 각 기관 간의 데이터가 원활히 연결될 수 있도록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법적·제도적 기반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2. 뇌에 미세한 신경칩을 심어서 예를 들면 날씨 어때?라고 하면 바로 뇌에 정보가 뜨는 기술 → 사람의 뇌에 미세한 신경칩을 심어 생각만으로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도 실현된다. 예를 들어 “날씨 어때?”라고 생각하면 눈앞에 바로 오늘의 기온과 강수량 정보가 떠오르는 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뇌의 신호를 정확하게 읽고, 그것을 언어 또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필수적이다. 또 신경칩의 안전성과 정확도를 높이고, 뇌와 외부 기기 간의 무선 연결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 발전해야 한다. 하지만 생각이 노출될 위험이나 윤리적인 문제도 커지기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보장하는 법적 기준이 반드시 필요하다.

3. 날씨를 인공지능이나 최첨단 기술을 통해 바꿀 수 있는 기술 → 인공지능과 첨단 기후 기술을 이용해 날씨를 바꾸는 시대가 온다. 폭우를 막거나 가뭄 지역에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인류는 기후 재해에 훨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려면 초정밀 기상 예측 시스템과 지구 전체의 기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구름씨 살포처럼 환경을 해치지 않는 인공 기후 조절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런 기술의 사용이 생태계나 기후 균형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국제적인 규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4. 지금은 우주에 어떠한 행성을 갈려면 몇십년 몇백년 더 걸리는 이러한 거리를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기술 → 현재 수십 년, 수백 년이 걸리는 우주 거리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기술도 가능해진다. 인류는 달이나 화성뿐 아니라 더 먼 행성까지 단기간에 이동하며 새로운 식민지나 탐사 기지를 세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로켓보다 훨씬 강력한 핵융합 추진이나 레이저 추진 같은 차세대 엔진 기술이 필요하다. 우주 방사선을 차단하고 장기 비행 중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신소재 개발도 필수적이다. 또한 인공지능이 자율적으로 항로를 계산하고 비행선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함께 발전해야 한다. 다만 막대한 에너지 자원과 기술 비용, 인체 안전 문제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큰 과제이다.

박민영


Gemini_Generated_Image_bae2q0bae2q0bae2 (1)

1. 의식 복제 및 제어 기술 (Consciousness Replication and Control)

기술적 측면 설명

이 기술은 인간의 의식(Consciousness), 즉 개인의 모든 지적, 감정적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추출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업로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합니다. 그림 속 여성의 ‘복제된 의식(Digital Clone)’은 이 시스템에 존재하며, 물리적인 몸 없이도 집안일을 완벽하게 제어합니다.

현재 개발된 관련 기술 상황


2. 실시간 시청각 녹화 및 재생 기술 (Real-time Audiovisual Recording and Playback via Smart Contact Lens)

기술적 측면 설명

이 기술은 그림 속 여성이 착용하고 있는 초소형 콘택트렌즈를 통해 눈으로 보는 시각 정보와 주변 소리를 청각 정보로 실시간 기록하고, 이를 TV 화면에 즉시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는 기술입니다.

현재 개발된 관련 기술 상황

한윤성

- 도시 전체 센서 네트워크 연결 → 쓰레기 수거, 에너지 배분, 교통 흐름, 치안, 조명 자동 제어

- 자율주행 네트워크 차량 → “자동차 구독제” 형태 확산

- 인공지능+센서+GPS → 자율 비행 택배

- 뇌파·시각·감정 기반 인터페이스 → AR 안경, 피부 아래 센서 → 혈당·호르몬·스트레스 실시간 측정

- 조기 질병 예측 및 맞춤형 자동 투여기기 등장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1 (2)


4️⃣ 인상 깊은 활동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Image](src)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