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20팀
1️⃣ 팀원 소개
| 이름 | 전공 | 관심사 | | — | — | — | | 안성민 | 소프트웨어 | 게임 개발, 게임 하기! | | 허재성 | 소프트웨어 | 알고리즘, 백엔드, 게임 개발, 재테크, 인형뽑기 | | 아이게림 | 소프트웨어 | UX/UI, 모바일 앱, 창업 | | 차서연 | 소프트웨어 | 알고리즘, 벡엔드, 자료구조, 데이터베이스, 뜨개질, 독서, 필사 |
팀 슬로건
우리의 미래를 유레카!
팀 소개
유레카는 무언가를 발견했을 때 내는 소리를 뜻합니다. 저희는 현재 수강하는 수업인 유레카 프로젝트의 “유레카”를 저희의 미래를 찾는다는 의미와 결합해서 우리의 미래를 유레카! 라는 슬로건을 내세웠습니다.
이 슬로건처럼, 앞으로의 활동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하며 저희의 미래를 유레카! 라고 외칠 수 있을 날이 오길 바랍니다.
2️⃣ 공통된 관심사 : 백엔드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 이정문 화백의 1965년 미래 예측 작품 감상 및 분석
📌 그림 살펴보기

💬 다음 그림 중 현재 가능한 부분은?
느낀점 — 각자의 생각
- 1965년에는 공상 과학처럼 보였던 아이디어들이 이제는 일상적인 기술이 되었다는 점이 흥미롭고, 상상이 실제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과거에 상상한 현재가 약간 어긋난 것 같으면서도 대부분 실행된 기술이라는 점이 놀랍다.
 → 그럼 현재에서 상상하는 미래의 모습 또한 지금은 터무니없어 보이지만 미래에는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했다.
- 작품이 만들어진 1965년에 현재 우리의 삶과 거의 유사하게 기술을 예측했다는 점에서 이정문 화백의 창의성과 통찰력이 엿보인다.
- 내가 앞으로 약 50년 뒤의 미래 기술과 삶을 예측하여도 이보다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 것이다.
- 어릴 때 텔레토비에 나오는 로봇청소기를 보고 무서워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제는 테슬라의 옵티머스, 서빙 로봇까지 상용화된 모습을 보며
 초등학생 때 그렸던 미래에 거의 가까워졌다는 생각이 든다.
💡 결론적으로 — 팀 전체의 느낀점
- 1965년에 공상 과학처럼 보였던 기술들이 지금은 우리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는 점이 무척 흥미로웠다.
- 작품 속에서 상상했던 여러 기술들이 실제로 현재 구현되었고,
 그 예측이 상당히 정확했다는 사실은 이정문 화백의 통찰력과 창의성이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보여준다.
- 또한 과거 사람들이 상상했던 현재가 실제와 조금은 다르지만 대부분 실현된 것을 보며,
 지금 우리가 터무니없다고 생각하는 미래의 상상들도 언젠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되었다.
⚙️ 상상한 미래와 현재가 된 미래의 대조
💭 현재 실현된 기술은?
| 예측된 기술 | 현재의 구현 사례 | 활용 영역 | 
|---|---|---|
| 태블릿 (Tablet) | 아이패드, 갤럭시탭 | 교육(스마트 러닝), 필기·드로잉, 영상 시청, 원격 근무 및 협업 도구 | 
| NFC 페이 (NFC Pay) | 삼성페이, 애플페이 | 스마트폰을 통한 간편 결제, 교통카드 대체, 웨어러블 결제 | 
| 터치스크린 (Touchscreen) | 스마트폰, 키오스크, ATM, 자동차 내비게이션 | 직관적인 조작 제공 | 
| OTT 서비스 (Over The Top) | 넷플릭스, 디즈니+ | 영상 스트리밍 및 콘텐츠 소비 | 
| 로봇청소기 (Robot Vacuum) | 루비, 로보락 | 자동 청소, 맵핑 기반 효율적 동선 관리, IoT 연동 | 
| VR (Virtual Reality) | 메타 퀘스트, 애플 비전 프로 | 게임, 엔터테인먼트, 가상 회의, 의료 훈련, 시뮬레이션 교육 | 
| 투명 OLED (Transparent OLED) | LG 투명 디스플레이 | 전시, HUD, 스마트 윈도우 등 미래형 인터페이스 | 
| IoT (사물인터넷) | 스마트홈, 헬스케어 웨어러블 | 가전제품 제어, 헬스케어, 스마트홈 자동화 | 
| AI 비서 (AI Assistant) | 시리, 빅스비, 알렉사 | 음성 명령, 일정 관리, 음악 재생, 스마트홈 제어, 검색 | 
| 스마트 글라스 (Smart Glass) | 구글 글래스, 메타 레이밴 | 증강현실 정보 표시, 실시간 번역, 원격 지원 | 
| 화상통화 (Video Call) | 줌, 페이스타임 | 원격 근무, 온라인 수업, 가족·지인 소통 | 
| 스마트폰 (Smartphone) | 아이폰, 갤럭시 | 결제, 엔터테인먼트, SNS, 업무 및 생활 전반의 허브 | 
💬 느낀점 — 각자의 생각
- 영상 속에서 반복적으로 나온 투명 OLED 기술이 가장 기억에 남았다.
 영상에서는 마우스나 키보드 같은 입력 장치 없이 스크린을 직접 터치해 조작한다.
 현재의 스마트폰·태블릿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곧 상용화가 임박한 기술임을 느꼈다.
- 과거에서 상상하는 미래는 이런 것이었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상상한 많은 기술을 이뤄낸 지금이 새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느꼈다.
- 앞으로의 기술은 우리가 예상하는 미래를 넘어,
 예상하지 못한 영역까지 뻗어 나갈 것 같다.
- 벽장, 창문 등에 터치스크린을 달아서 사용하는 장면을 보면
 저 영상들이 만들어진 시기엔 먼 미래처럼 보였지만,
 최근에는 정수기나 냉장고에도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것을 보며
 정말 벽장과 창문에도 터치스크린의 상용화가 머지않았다고 느꼈다.
- 현재 기술 발전이 가파른 만큼, 공중부양 자동차나 우주여행도 먼 미래가 아닐 것 같다.
- 예전에는 미래라고만 생각했던 기술들이 이제는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는 점이 놀랍다.
💡 결론적으로 — 팀 전체의 느낀점
- 영상 속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 투명 OLED 기술이 특히 인상 깊었다.
- 마우스나 키보드 같은 별도의 입력 장치 없이 투명한 스크린을 직접 터치해 조작하는 모습은
 현재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크게 다르지 않았고,
 이는 곧 머지않아 이러한 기술이 상용화될 것임을 보여주는 듯했다.
- 또 벽장이나 창문에 터치스크린을 달아 사용하는 장면은 과거에는 먼 미래처럼 보였지만,
 오늘날 냉장고나 정수기에도 이미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것을 보면 실제 실현이 머지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예전에는 단순히 공상처럼 여겨졌던 기술들이 지금 우리의 일상에 당연하게 자리 잡았다는 점이 놀라웠고,
 기술 발전의 속도가 새삼 빠르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다.
- 앞으로의 기술은 우리가 예상하는 미래를 뛰어넘어,
 지금은 상상조차 하지 못하는 영역까지 확장될 것 같아 더욱 기대된다.
MIT Sixth Sense Ted 영상을 보고
1. Why?
요약 정리
- 목표: 디지털 정보와 물리적 세계의 경계를 허물고 자연스럽게 연결.
- 동기: 사용자를 컴퓨터 화면과 복잡한 조작에서 해방시켜 ‘정보 활용’ 자체에 집중하도록 지원.
- 방향: 현실 세계의 제스처를 통해 가상 정보와 직관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탐구.
개별 의견
디지털 정보를 물리적 세계에 가져오기 위해 제스쳐를 활용함.
디지털 정보와 물리적 세계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자 했습니다. 사람들은 화면에 갇히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자연스럽게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현실의 제스처와 가상의 세계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있어서
사람들은 ‘컴퓨터 조작’보다 ‘정보 활용’ 자체에 관심이 있다. 현실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데 목적을 둠.
2. What?
요약 정리
- 핵심: 현실의 사물과 공간을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 기능: 손 제스처를 통해 현실에 투영된 디지털 정보와 직접 상호작용.
- 개념: 현실의 물체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교환하는 시스템.
개별 의견
사용자가 제스쳐를 사용해 디지털 정보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만듦
현실 세계의 사물 위에 정보를 투영하고, 손 제스처를 인식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현실의 물체를 디지털 세계와 연결하여 바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게 하는 것을(그리고 그 반대도)
현실 세계의 사물, 손동작, 공간 위에서 디지털 정보를 직접 다룰 수 있는 착용형 인터페이스(웨어러블 장치). 즉, 현실 물체를 입력·출력 장치로 바꿔주는 SixthSense 장치.
3. How?
요약 정리
- 구성: 몸에 착용하는 소형 카메라,프로젝터,거울(센서)을 결합.
- 입력: 카메라는 사용자의 손 제스처나 현실 사물을 인식.
- 출력: 프로젝터는 디지털 정보를 벽, 종이, 손바닥 등 모든 물리적 표면에 투사.
- 기술: 이동 가능한 증강현실(AR)경험을 구현.
개별 의견
프로젝터와 마커, 카메라를 사용한 웨어러블 장치를 만들었음. 카메라와 마커를 사용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입력받고 그 정보를 변환해 프로젝터로 출력해줌.
목에 착용하는 작은 프로젝터, 카메라, 센서를 결합하여 구현했습니다. 카메라는 손 제스처와 물체를 추적하고, 프로젝터는 디지털 정보를 표면 위에 투사했습니다.
증강현실로 현실의 제스처를 디지털 세계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 기계 속의 세계와 현실의 경게를 허물었음。
작은 카메라, 프로젝터, 미러를 몸에 착용. 카메라는 손동작이나 사물을 인식, 프로젝터는 벽·책·손 위에 정보를 투사. 손가락 제스처, 종이, 물체 등을 곧바로 입력 장치로 사용.
4. 마무리
요약 정리
- As-Is vs To-Be: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를 각각 가상 타이핑,손가락 움직임,현실의 모든 표면으로 대체하는 개념을 제시.
- 현재: 2009년의 프로토타입 비전은 오늘날 AR/VR 헤드셋(핸드 트래킹),스마트폰 AR,웨어러블 컴퓨터등 더욱 정교하고 상용화된 기술로 발전 및 구현됨.
개별 의견
키보드 -> 카메라로 손 제스쳐를 입력 마우스 -> 마커를 사용해 이동과 클릭을 구현 모니터 -> 프로젝터로 화면을 출력. 2009년에는 불편했지만 현재는 애플/메타의 VR 헤드셋 등으로 발전함.
출력 장치를 모니터 대신 현실의 표면으로 대체. 현재는 AR 글래스 등으로 발전하여 “현실 세계와 디지털 정보의 통합” 비전이 이어지고 있음.
키보드/마우스/모니터를 각각 신체 일부, 손가락 클릭, 어떤 평면으로든 대체. 현재는 ‘웨어러블 컴퓨터’로 발전.
키보드/마우스/모니터를 제스처 입력, 손동작, 현실 표면 투사로 대체. 현재는 스마트폰/태블릿 AR, 스마트워치, AR 글래스, 손 제스처 인식 기술 등으로 구현됨.
10/10 활동 정리 - 우리가 상상한 미래
- AGI 탑재 휴머노이드 로봇 비서
핵심: 강인공지능(AGI) + 로봇공학 융합.
기능: 언어 이해, 상식 추론, 계획 능력, 센서 기반 환경 인식, 물리적 조작.
효과: 가정·직장·산업 현장에서 인간을 보조 또는 대체하는 로봇 비서 등장.
- 생성형 AI 확장에 따른 새로운 직업군
데이터 검증가: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개인정보·윤리 기준 검토.
데이터 인증 개발자: 출처·권리 추적 및 인증 시스템 개발.
데이터 큐레이터: 고품질·합법적 데이터 수집·정제·판매.
커스텀 AI 전문가: 사용자 전용 AI 모델 제작 및 관리.
AI 윤리 자문가: 법적·윤리적 기준 수립 및 감독.
- 공간 컴퓨팅 렌즈 (Spatial Computing Lens)
AR/VR 기술이 렌즈에 내장되어 스마트폰을 대체.
현실과 디지털 정보가 하나로 융합.
시야 전체가 작업공간이 되며, 홀로그램 기반 소통·정보 검색 가능.
- 뉴럴 컴파일러 (Neural Compiler)
생각만으로 코딩 가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 생성형 AI 결합.
개발 속도와 창의성 폭발적 향상.
- 개인 항공 모빌리티 (PAM)
드론 택시 보편화로 도시 교통 3차원화.
건물 옥상 간 이동(UAM) 일상화.
지상 교통 체증 해소 및 이동 혁신.
📌 미래의 우리 모습
- 
    현장 탐방 ✔️ 
- 멘토링 ✔️
    - 내 지도 교수 함게 만나기
- 대학원 방문 및 선배 만나기
 
- 프로젝트 진행 ✔️
    -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 우리가 상상한 미래
- 우리가 그리는 미래 그리고 나
 
- 각오와 소감 나누기 ✔️
 
 

4️⃣ 인상 깊은 활동
- 활동명 – 활동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배운 점을 작성
- 예: 멘토링에서 실리콘밸리 현업 경험을 들을 수 있어 진로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 예: 현장실습 제도
- 예: TOPCIT 정기평가
- 예: 졸업 후 진로(대학원/취업)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