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10조

1️⃣ 팀원 소개
| 이름 | 전공 | 관심사 | 
|---|---|---|
| 박진우 | 소프트웨어전공 | 인공지능, 풀스택, 창업 | 
| 김지원 | 소프트웨어전공 | 알고리즘, 게임/앱 개발 | 
| 박하은 | 소프트웨어전공 | 인공지능, 시스템 프로그래밍, 보안 | 
| 조예준 | 소프트웨어전공 | 인공지능, 앱 개발, 암호보안수학 | 
| ** | (전공) | 예시)분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오픈소스 |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 생성을 축하합니다.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의 제목과 팀원의 이름 및 관심사를 변경하세요.
팀 슬로건
우리의 코드가 연결하는 세상
팀 소개
우리는 소프트웨어학부에서 새로운 시작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모인 팀입니다.
아직 배워야 할 것도 많고 서툰 부분도 있지만,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즐기는 것이 우리의 가장 큰 강점입니다.
각자 다른 개성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함께 협력하며,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는 프로젝트를 하고자 합니다.
비록 시작은 작지만, 한 걸음 한 걸음 배우며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더 큰 가능성을 보여드리겠습니다.😎
2️⃣ 공통된 관심사 : 인공지능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3주차 활동: 과거 사람들이 생각한 미래
Team Mission 1
- 
    만화에서 소개된 내용 중에서는 태양열 발전 주택, 전기 자동차, 스마트폰, 전자신문, 무빙워크, 로봇 청소기 등 대부분의 것들이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다. 
- 
    아직은 달나라 여행은 상용화까지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그 외 다른 기술들은 현재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였다. 
느낀점
- 
    55년전의 만화가가 꿈꿨던 세상은 더이상 비현실적인 몽상이 아닌 현실의 일부분이 되었다. 그 당시에는 불가능해 보였겠지만 현재 우리는 불가능하다 생각하기는 커녕, 아무런 생각 없이 사용하는 기술들이다. 
- 
    따라서, 현재 우리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여러 기술들도 미래에는 상용화가 이뤄질 수 있음을 생각한다면, 미래의 모습이 정말 기대된다. 
Team Mission 2
| 영상 | 실현된 기술 | | — | — | | 마이크로소프트(영상1) | 노트북의 경우는 상용화, 보딩패스와 카드와 같이 소형 디스플레이의 경우는 상용화| | 마이크로소프트(영상1) | 여러 국가의 언어를 실시간으로 번역해 주는 실시간 언어 번역 | | 마이크로소프트(영상1) | 컴퓨터를 사용하여 건물을 3차원으로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하는 건축 및 3D 설계 소프트웨어 | | 크랩(영상2) | 도형 및 필기 자동 보정 기술의 정교화 및 간편화 | | 크랩(영상2) | 오토파일럿(자율주행)의 준 상용화 | | 코닝(영상3) | 멀리 떨어진 사람들과 화상으로 회의 및 대화하는 원격 회의 및 협업 도구 | | 코닝(영상3) | 스마트홈 ICT 기술 |
느낀점
| 이름 | 의견 | 
|---|---|
| 박진우 | 영상에서 제시된 기술들의 일부는 아직 상용화가 되지 않았음에도 제한적으로나마 연구 단계, 혹은 상용화 직전 단계에 있다. 그동안 이뤄진 발전의 정도에 대해, 현재 기술의 발전 전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음을 생각한다면 미래의 모습이 기대된다. | 
| 김지원 | 일상과 통합된 기술들의 모습이 우리에게 있어 직관적이고 편리한 업무 환경의 조성으로 이어질 것 같다. 우리의 생산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며, 현재는 공상과학으로 치부되는 기술들도 미래에는 가능하게 될 것 같다. | 
| 박하은 | 일상 속 디스플레이와 여러 데이터들간의 연동으로 우리의 일상을 ㅡ씬 편리하게 만드는 모습이 인상깊었다. 옛날에는 꿈만 같았던 기술이 실용화된 것을 보니, 미래에는 현재에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기술도 상용화가 가능할 것 같아 기대된다. | 
| 조예준 | 영상이 보여준 기술들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신문과 컵 등 대부분의 사물들이 인터넷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으며, AI 가수가 과거에 예측 및 시도되었던 것도 흥미로웠다. | 
4주차 활동 : 상상의 현실화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Why?
- 디지털 세계와 현실 세계의 경계는 현재 input-output 장치의 구분이 또렷, 이러한 장벽을 부수어 기술과 우리 주변의 사물들을 통합하는 것.
    What?-목에 거는 카메라 및 프로젝터로 사용자의 행동 및 주변 사물 인식 -> 디지털 정보를 투사 How?-카메라로 정보 수집 후 본체에서 데이터 처리 및 프로젝터로 투사 
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경하셨나요??
키보드는?
마우스는?
-키보드와 마우스는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대체 이는 단순히 글자의 조합으로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것을 넘어 매우 다양하고 비정형적인 형태의 명령을 가능하게 함
모니터는?
-모니터는 투사 장비를 통해 모든 사물이 곧 디스플레이로 대체됨
MIT Sixth Sense Project 팀이 만든 내용이 현재에는 어떠한 장비로, 어떻게 구현이 되었을까?
현재의 기술과 약 15년 전에 MIT에서 진행한 기술의 발전 모습은?
-15년 전에는 별도의 휴대 장치가 필요, 하지만 현재는 구글 글래스나 애플비전 같이 다양한 분야의 기술 발전에 따라 데이터 처리, 수집, 표시 등이 하나의 장비로 통합. 또한 AI 분야의 발전은 사물 인식 및 제스쳐 처리의 정확도와 속도를 비약적으로 상승시킴 느낀점
느낀점
| 이름 | 의견 | 
|---|---|
| 박진우 | 현실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하는 것이 인상깊었다. 하지만 동시에 벽과 같은 물리적 스크린이 필요하다는 점, 높은 해상도를 보장하기에는 어렵다는 점, 투영되는 정보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어렵다는 점에 따라 공공장소에서의 사용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 깜빡임, 손짓 등 새로운 입력 방식은 우리의 일상생활 및 생산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 김지원 | 손가락으로 움직이는 현실을 통해서 보다 직관적으로 디지털 정보를 다루고 현실과 기술이 더 통합되어 보이는 것을 보고 저런 기술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에 놀랐다. 마우스나 키보드 같은 입력 장치 또한 물리적으로 필요 없고, 오직 사용자의 손가락만을 이용해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정말 편리해보였고, 스마트폰 AR앱 등을 통해서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더해주는 것에서 기술의 발전은 정말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다. 이대로 기술이 발전해 나간다면 이러한 기술들이 우리 주변에서 더욱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 
| 박하은 | Sixth Sense 프로젝트는 단순히 새로운 기기를 만든 것을 넘어, 컴퓨터를 ‘스크린’이라는 사각형 틀에서 해방시켰다. 디지털 정보를 우리가 사는 현실 공간으로 직접 가져와, 손짓과 같은 가장 직관적인 방식으로 소통하게 만든 발상의 전환이 놀랍다. 당시에는 멀게만 느껴졌던 기술들이 지금 상용화가 되어 쓰이고 있는 것을 보면 기술발전의 속도가 실감난다. | 
| 조예준 | 물리적인 세계의 사물을 자유롭게 디지털 정보로 바꿀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신기한 부분이었다. 사용자의 행동과 주변 사물을 인식하여 관련 정보를 손바닥이나 종이에 투사하는 것을 보면서나중에는 스마트폰도 필요하지 않은 세계가 올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키보드, 마우스, 컴퓨터 스크린에서만 가능할 거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사람의 제스쳐가 입력을 대신하고 현실 세계의 모든 표면이 출력장치가 되는 것을 보면서 고정관념을 깨고 호기심을 가지는 태도가 앞으로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 
5주차 활동 : 우리가 상상한 미래
| 기술 분야 | 세부 설명 | | — | — | | 의료 | 3D 프린터와 자가 줄기세포를 이용한 거부반응이 없는 인공장기 | | 사회복지 | AI 프로그램 및 휴머노이드 로봇을 이용한 요양/돌봄 시스템 | | 의료 | 손상된 DNA 수복을 통한, 항노화 및 역노화 | | 컴퓨터과학 | 양자컴퓨터로 더 많고 빠른 연산 가능 | | 인공지능 | AGI, 및 재귀적 자기개선 -> 발전속도 가속화 | | 관광 | 더 빠르고 친환경적인 이동수단 및 관광 범위 증가(달 여행 등) |
|  |  | 

- 
    기관/부서 인터뷰 ✔️ 
- 
    현장 탐방 ✔️ 
- 멘토링 ✔️
    - 내 지도 교수 함게 만나기
- 대학원 방문 및 선배 만나기
 
- 프로젝트 진행 ✔️
    -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 우리가 상상한 미래
- 우리가 그리는 미래 그리고 나
 
- 각오와 소감 나누기 ✔️
 
 

4️⃣ 인상 깊은 활동
- 활동명 – 활동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배운 점을 작성
- 예: 멘토링에서 실리콘밸리 현업 경험을 들을 수 있어 진로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 예: 현장실습 제도
- 예: TOPCIT 정기평가
- 예: 졸업 후 진로(대학원/취업)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