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9팀
1️⃣ 팀원 소개
| 이름 | 전공 | 관심사 | 
|---|---|---|
| 박수진 | 소프트웨어전공 | 해외인턴, 인공지능 | 
| 황민석 | 소프트웨어전공 | 야구, 스타트업 | 
| 동소기 | 소프트웨어전공 | 게임 | 
| 진현석 | 소프트웨어전공 | 운동 |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 생성을 축하합니다.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의 제목과 팀원의 이름 및 관심사를 변경하세요.
팀 슬로건
Ctrl the World, Alt the Future!
팀 소개
소프트웨어 전공과 관련한 진로 탐색을 목표로 공동 활동하는 팀 입니다.
2️⃣ 공통된 관심사 : 운동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 
    기관/부서 인터뷰 ✔️ 
- 
    현장 탐방 ✔️ 
- 멘토링 ✔️
    - 내 지도 교수 함게 만나기
- 대학원 방문 및 선배 만나기
 
- 프로젝트 진행 ✔️
    -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 우리가 상상한 미래
- 우리가 그리는 미래 그리고 나
 
- 각오와 소감 나누기 ✔️
4️⃣ 인상 깊은 활동
- 활동명 – 활동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배운 점을 작성
- 예: 멘토링에서 실리콘밸리 현업 경험을 들을 수 있어 진로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 예: 현장실습 제도
- 예: TOPCIT 정기평가
- 예: 졸업 후 진로(대학원/취업)
6️⃣ 3주차 활동을 마친 소감
Team Mission 1
태양광 발전 주택, 전기자율주행자동차, 무빙워크, 스마트폰, 원격 강의, 로봇 청소기 등 이제 막 구현되기 시작한, 또는 벌써 상용화 된 기술들이 1965년에도 상상이 가능했다
Team Mission 2
디스플레이 유리 기술이나 날아다니는 자동차 등은 21세기인 현재에도 아직 구현이 되지는 않았다. 구현 및 상용화가 완료된 기술은 영상 통화를 하며 운전하는 것, 터치패드로 필기를 스크린에 옮기는 것, 카드나 현금이 아니라 핸드폰으로 결제하는 것, 그리고 TV로 야구 티켓을 예매하는 것이 있다.
🔗20213482 동소기
“당시 사람들에게는 미래에 대한 비전이었지만, 우리에게는 하나둘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아마도 더 먼 미래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우리의 비전이 그들의 손에 닿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세 개의 시공간이 대화하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흥미롭습니다.”
🔗20230152 박수진
“그 당시에도 지금의 기술을 상상 가능했다니 신기했다. 어쩌면 동시대를 사는 인간들이 상상할 수 있는 한계치는 거의 비슷할 것 같다. 상상한 대로 이루어지는 건지 이루어지는 대로 상상하는 건지 헷갈린다만 확실한 건 인류는 현재 끊임없이 발전하는 과학적으로 영광의 세대를 살고 있다는 것이다.”
🔗20252363 진현석
“이번 영상들을 보면서 예전 시절에 상상했던 기술들이 현 시점에서 대부분 구현되었다는 사실에 놀라웠다. 그러다보니 아직 실현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기술들도 곧 실현 가능할 것 같다고 생각되었다. 앞으로 아직 실현되지 않은 기술들을 상상해보면서 미래시점에서 확인해보는 재미도 있을 것 같다.”
🔗20252371 황민석
“65년 당시 막연한 공상으로 여겨지던 기술들의 8할 정도가 21세기 기준 현실화, 상용화 되었다.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당장에 자율주행기술의 상용화 역시 국내의 교통법 규제 때문에 제대로 된 형태로 수입되지 못했을 뿐 메르세데스나 테슬라등 다양한 회사에서 완전 자율 주행 기술을 구현해 민간에 판매중이기도 하다. 지금을 기준으로 구현하기에 힘들어 보이는 기술, 이를테면 대규모의 지하터널 구축을 통한 고속 이동 수단/’스마트 미러’등으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혁명등도 근 미래에 일상속으로 들어오는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
6️⃣ 4주차 활동을 마친 소감
Q1.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 Why? 물리적인 세상과 디지털 세상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 What?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
- How? 사용자들로 하여금 손짓을 통해 자연스럽게 디지털 정보/컴퓨터에 대한 접근하도록 설계
Q2. As-Is vs To-Be는 어떻게?
- 키보드는? 손바닥
- 마우스는? 손가락
- 모니터는? 아무 벽면
Q3. MIT Sinth Sense Project 팀이 만든 내용이 현재에는 어떠한 장비로, 어떻게 구현이 되었을까?
- 현재의 기술과 약 15년 전에 MIT에서 진행한 기술의 발전 모습은? 현재는 이 기술이 AI 기반 제스처 인식, 스마트글라스, 증강현실(AR) 등으로 발전해 더 작고 정교한 기기로 구현되고 있습니다. 초기 프로토타입이 약 350달러였던 것과 달리 지금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며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진화했습니다.
미래의 세상은?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