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on GitHub

eureka-252-team-e25-sw02-04

2025-2-2-eureka-template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view Assignment Due Date

Welcome to 4팀

image

1️⃣ 팀원 소개

이름 전공 관심사
조민서 소프트웨어학부 프론트엔드, 모바일 앱, 오픈소스
아리나 소프트웨어학부 프론트엔드, 백엔드, 보안
박도윤 소프트웨어학부 게임 개발, 웹 디자인(UI/UX), 천문학, 물리학
신진욱 소프트웨어학부 프로그래밍 공부, 알고리즘, 게임
김태우 소프트웨어전공 서버 개발, 알고리즘, 수학

팀 슬로건

한계를 넘어, 해답을 창조한다.

팀 소개

저희 팀은 기존의 틀을 넘어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팀입니다. 서로의 아이디어와 강점을 연결해, 프로젝트에서 최선의 결과를 창조하겠습니다.


2️⃣ 공통된 관심사 : 프로그래밍, 게임, 독서, 운동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2025.09.19 Team Mission 1 : 1965년에 그려진 내용을 보면서 현재 가능한 부분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논의하기 🔗 https://www.notion.so/2000-273a9b46d00c80589e7df3c33854b052 현재 실현된 기술: ## 태양광 기술 (BIPV -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급속 성장 중 - **핵심 기술**: -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셀 (효율 31% 돌파) - 투명 태양전지 (가시광 투과율 70% 이상) - 플렉시블 유기태양전지 (곡면 적용 가능) - **시장 현황**: 2025년 글로벌 BIPV 시장 183억 달러, 연평균 성장률 15.2% - **주요 업체**: 테슬라 Solar Roof Tiles, 한화큐셀 Q.PEAK DUO-G10+, LG전자 NeON H - **기술 발전**: 마이크로인버터 통합으로 모듈별 최적화 실현 ## 전파신문 (디지털 뉴스 소비)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종이신문 대체 - **핵심 기술**: - 모바일 최적화 웹사이트: 반응형 디자인, AMP(가속 모바일 페이지) - AI 기반 개인화: 관심사별 맞춤 뉴스 큐레이션 - **시장 현황**: - 2025년 한국 디지털 뉴스 이용률 95% 돌파 - 종이신문 발행부수: 2000년 대비 70% 감소 - 모바일 뉴스 소비: 전체 디지털 뉴스 소비의 80% - **주요 플랫폼**: - 네이버 뉴스: 일일 활성 사용자 4,500만명 - 다음 뉴스: 실시간 검색어 연동 뉴스 서비스 - 카카오톡 뉴스탭: 메신저 내 뉴스 소비 - **글로벌 트렌드**: - 구글 뉴스: AI 알고리즘 기반 개인화 - 애플 뉴스+: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 - 틱톡, 인스타그램: 숏폼 뉴스 콘텐츠 급성장 ## 전기자동차 (EV) **현재 상태**: 대중화 단계 - **핵심 기술**: -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안전성↑, 가격 30% 절감 - 4680 원통형 셀: 에너지밀도 5배 향상 (테슬라) - 800V 아키텍처: 18분 10→80% 초고속 충전 - **시장 점유율**: 2025년 글로벌 15.3%, 중국 35%, 노르웨이 90% - **충전 인프라**: - 테슬라 슈퍼차저: 전 세계 5만+ 스테이션 - 현대차 E-pit: 350kW 초고속 충전 - CCS2 표준화로 호환성 확대 - **배터리 기술**: 2030년 고체전지 상용화 예정 (1000km 주행거리) ## 로봇청소기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스마트홈 핵심 기기 - **핵심 기술**: - LiDAR SLAM + 비전 SLAM 융합 (정확도 95% 이상) - 3D ToF 센서로 장애물 3차원 인식 - AI 딥러닝으로 바닥 재질별 청소 최적화 - **시장 선도**: - iRobot Roomba j7+: 반려동물 배설물 회피 AI - 샤오미 로보락 S8 Pro Ultra: 자동 걸레 세척 - 에코백스 X1 OMNI: 음성인식 + 영상통화 기능 - **고급 기능**: 자동 먼지통 비움(60일), 온수 걸레 세척, 건조 기능 ## 원격 의료 (텔레헬스) **현재 상태**: 급속 확산, 의료 패러다임 변화 - **핵심 기술**: - WebRTC 기반 고화질 영상진료 - 5G 네트워크로 실시간 바이탈 데이터 전송 - AI 진단 보조 시스템 (IBM Watson Health) - **규제 변화**: - 한국: 2022년 비대면 진료 한시적 허용 → 2024년 본격 법제화 논의 - 미국: 팬데믹 이후 Medicare 원격진료 영구 승인 - **주요 플랫폼**: - Teladoc Health: 연간 2,400만 상담, 175개국 서비스 - 닥터나우: 국내 1위, 24시간 응급상담 - 굿닥: 병원 예약 + 비대면 진료 통합 - **웨어러블 연동**: Apple Watch, 갤럭시 워치로 심전도, 혈중산소 실시간 모니터링 ## 온라인 교육 (에듀테크)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전통 교육 대체 - **핵심 기술**: - 적응형 학습 AI: 개인별 학습 패턴 분석하여 맞춤 커리큘럼 - VR/AR 몰입형 콘텐츠: Meta Quest를 활용한 가상 해부학 실습 - 실시간 협업 도구: Zoom Whiteboard, 구글 잼보드 - **시장 규모**: 2025년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4,040억 달러 (2020년 대비 3배 성장) - **대표 기업**: - Coursera: 1억+ 학습자, 스탠퍼드·예일 등 명문대 강의 - Khan Academy: 무료 교육, 연간 1.2억 학습자 - 국내: 대교 눈높이, 웅진씽크빅 스마트올, 천재교육 밀크티 - **AI 튜터**: ChatGPT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 도우미 상용화 ## 스마트 키친 (IoT Kitchen) **현재 상태**: 상용화 진행 중, 프리미엄 주방 표준 - **핵심 기술**: - 컴퓨터 비전: 냉장고 내부 식재료 자동 인식 - 음성인식 AI: 아마존 알렉사, 구글 어시스턴트 통합 - IoT 센서 네트워크: 온도, 습도, 가스 누출 실시간 감지 - **스마트 가전**: - 삼성 패밀리허브: 32인치 터치스크린, 내부 카메라로 식재료 관리 - LG ThinQ: 음성으로 오븐 예열, 세탁기 원격 제어 - 아마존 에코 쇼: 레시피 검색하며 타이머 설정 - **AI 기능**: - 식재료 기반 레시피 자동 추천 - 유통기한 알림 및 온라인 주문 연동 - 영양 성분 분석 및 칼로리 계산 ## ### **움직이는 도로의 상용화 현황** '움직이는 도로' 그림은 현재 **스마트 도로 기술**과 **자율주행 모빌리티**로 실현되고 있습니다. 그림처럼 도로 자체가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기술은 아니지만,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교통 흐름을 제어하고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습니다. - **스마트 교통 시스템:** 도로에 설치된 센서와 CCTV가 실시간으로 교통량을 감지하여 신호등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돌발 상황을 감지해 운전자에게 경고합니다. 이 시스템은 교통 체증을 줄이고 안전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자동차와 도로 인프라, 다른 자동차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입니다. 차량은 전방의 신호등 정보, 도로 공사 정보, 사고 발생 위치 등을 미리 파악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안전 하게 주행할 수 있습니다. - **자율주행 셔틀:** 그림처럼 탑승자가 서 있어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시켜 주는 **자율주행 셔틀**이 이미 상용화되어 특정 구역(공항, 관광지, 공원 등)에서 운행되고 있습니다. 이 셔틀은 정해진 경로를 스스로 움직이 며 효율적인 이동을 돕습니다. 결론적으로, '움직이는 도로'는 단순히 물리적인 움직임을 넘어, **데이터와 통신 기술**을 통해 도로를 더욱 똑똑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향으로 상용화되었습니다. ## ### **소형 TV의 상용화 현황** ## 개인용 디스플레이 (모바일 혁명)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메인 스크린으로 자리매김 - **핵심 기술**: - LTPO OLED: 1-120Hz 가변 주사율로 배터리 효율 30% 향상 - HDR10+ 지원: 영화관 수준 화질 - 폴더블 디스플레이: 갤럭시 Z 폴드, 화웨이 메이트 X - **콘텐츠 생태계**: - 넷플릭스 - 유튜브 - 디즈니+ - **기술 발전**: - 차세대: 롤러블 디스플레이 (LG 롤러블폰 시제품) - MicroLED: 무한 명암비, 번인 없는 차세대 기술 ## 민간 우주여행 '로켓을 타고 달나라로 수학여행을 가는' 그림은 현재 **민간 우주 관광**이라는 개념으로 실현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정부 기관만이 우주 탐사를 주도했지만, 이제는 민간 기업이 우주여행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현재 상태**: 초기 상용화, 극부유층 대상 - **핵심 기술**: - 재사용 로켓: SpaceX 팰컨9 100회 이상 재사용 성공 - 준궤도 비행체: 100km 고도 무중력 체험 - **서비스 현황**: - **준궤도 여행**: - 버진 갤럭틱: 45만 달러, 90분간 무중력 체험 - 블루 오리진: 뉴 셰퍼드, 11분간 우주 경험 - **궤도 여행**: - SpaceX 크루 드래곤: ISS 8일 체험 (5,500만 달러) - 액시엄 스페이스: 민간 우주정거장 2025년 발사 예정 - **향후 계획**: - SpaceX: 2026년 달 궤도 여행 (dearMoon 프로젝트) - 블루 오리진: 2025년 궤도 우주정거장 오벌 리프 - 중국 스페이스파이어니어: 2027년 우주호텔 운영 목표 ## ### 실현 정도 종합 평가 - **완전 실현 (90% 이상)**: 태양광 BIPV, 전기차, 로봇청소기, 모바일 디바이스 - **대부분 실현**: 원격의료, 온라인교육, 스마트키친 - **부분 실현**: 자율주행 (레벨4 제한적), 우주여행 (극소수 대상) **결론**: 1965년도에 2000년대를 예측한 해당 만화는, 기술 발전 방향을 놀랍도록 정확히 예견했으며, 일부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실현되었음. 특히 모바일 중심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변화는 예측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발전. ## 느낀점 20년 전에 미래를 예측하여 그린 그림이 지금은 일상이 되었다. 스마트폰으로 뉴스 보고, 코로나 때 온라인으로 수업 듣고, 로봇청소기 돌리는 것까지. 당시에는 상상 속 이야기였을 텐데 지금은 당연한 일상이 되어버렸다. 신기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무서운 면도 있다. 기술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훨씬 빠르다는 뜻이니까. 지금 내가 소프트웨어학과에서 배우고 있는 것들도 10년 후에는 완전히 달라질지도 모르겠다. 요즘 ChatGPT 같은 AI의 코딩 실력이 계속해서 발전 하는 것을 보면, 어쩌면 개발자라는 직업 자체가 사라지거나 완전히 바뀔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단순히 현재의 프로그래밍 기술 습득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미래 기술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면서 진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20년 전의 예측이 이 정도로 정확했다 면, 현재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 가상현실, 메타버스 등의 기술들도 향후 10년 내에 사회 전반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기술 자체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더 핵심적인 것은 그 기술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활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급속한 변화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과 새로운 기술에 대 한 개방적인 수용 자세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 Team Mission 2 : 3개의 영상을 보면서 현재 이루어진 기술이 무엇인지 논의하기 ## **Microsoft Future Vision - 2011** **1. 실시간 협업과 동시 편집** Google Docs에서는 여러 기기가 동시에 문서를 보고, 수정하고, 댓글을 달고, 제안 기능(suggesting)을 사용할 수 있음 수정 이력(version history)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누가 언제 무엇을 변경했는지 추적 가능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문서를 편집하고 다시 온라인이 되면 변경사항이 동기화됨 문서 내에서 @멘션 기능으로 특정 사용자를 소환하고 작업 항목(task items)을 지정할 수 있음 Google Slides, Sheets 등에서도 비슷한 공동 작업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실시간 포인터로 다른 사용자가 작업 중인 위치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음 출처 : https://support.google.com/a/users/answer/9259857?hl=ko#zippy=%2C%EB%B0%A9%EB%B2%95-%EC%95%8C%EC%95%84%EB%B3%B4%EA%B8%B0 **2. 음성 인식 및 실시간 자막과 자동 번역** Tkita 서비스는 실시간 음성 인식(STT)을 통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자막을 제공하며, 자동 번역 기능도 함께 제공함 TkitaMobile은 QR 코드 또는 URL로 참여할 수 있으며, 음성과 텍스트 입력이 모두 가능하고 번역된 자막이 화면에 표시됨 MossVox 자막 플러그인은 크롬 확장프로그램으로 작동하며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실시간 자막 및 번역 기능을 제공함 일부 삼성 스마트 TV 제품에서는 실시간 음성 번역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하여 다양한 언어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함 출처 :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1855192 **3. 컴퓨터 비전 (물체 및 텍스트 인식)** Google Lens는 이미지나 실시간 카메라 장면에서 물체나 텍스트를 인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표지판이나 문서를 카메라로 비추면 텍스트를 인식해 복사하거나 번역할 수 있으며, 식물·동물·장소·제품 등도 인식 가능 인식된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AR 오버레이로 화면 위에 관련 정보(예: 생물 이름, 설명 등)를 띄우는 기능도 가능함 출처 : https://lens.google/?utm_source=chatgpt.com#shopping **4. 스마트 가전·주방 (IoT)** 스마트 주방 디스플레이는 레시피 단계 안내, 타이머 설정, 냉장고 재고 확인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음성 명령도 인식함 조리 중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조리 단계 전환이나 타이머 설정이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를 높임 스마트 냉장고는 내부 카메라를 통해 재고를 확인하고 레시피를 추천하거나 자동 장보기 목록을 생성해줌 출처 : https://www.apple-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70458 **5. 제스처·손 추적·시선 추적** HoloLens나 Apple Vision Pro 등에서는 공중 제스처로 메뉴 선택, 창 이동, 화면 확대 등의 조작이 가능함 시선 추적(gaze tracking)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인식하여 보고 있는 UI 요소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강조함 손 추적(hand tracking)은 컨트롤러 없이 손의 위치와 동작을 인식해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 출처 : https://www.apple.com/legal/privacy/data/en/eyes-hands/?utm_source=chatgpt.com ## ## **현실이 된 90년대의 상상** ## **1. 태블릿 PC 및 터치스크린** -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 **현재 활용 및 예시** - 개인용: 아이패드(iPad), 갤럭시 탭(Galaxy Tab), 서피스(Surface)와 같은 태블릿 PC는 휴대용 PC로서의 기능을 넘어, 디지털 드로잉, 필기, 악보 보기 등 전문적인 창작 도구로 널리 활용됨. - 공공 및 상업용: 키오스크, ATM, 병원의 접수 시스템 등 터치스크린 기술은 우리 주변 모든 곳에서 사용됨. - **핵심 기술:** - 정전식 터치스크린: 사람의 정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 - 액티브 스타일러스: 필압, 기울기 등 미세한 입력을 감지하는 펜 기술로, 실제 종이에 쓰는 듯한 경험을 제공 ## 2. 모바일 결제 -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 **현재 활용 및 예시** - NFC/MST 방식: 삼성페이, 애플페이, 구글페이 - QR/바코드 방식: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제로페이 - **핵심 기술** -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는 결제 방식을 가능하게 함 - QR/바코드: 스마트폰 화면의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하는 방식 - **시장 현황:**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전 세계 모바일 결제 시장의 약 41%를 차지하며 시장을 선도 ## 3. VOD 및 스트리밍 서비스 -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 **현재 활용 및 예시** - 영상 스트리밍: 넷플릭스, 유튜브, 디즈니+ - 국내 스트리밍: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 음악 스트리밍: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멜론 - **주요 업체:** 넷플릭스, 디즈니+,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국내: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 4. 스마트워치 및 헬스케어 -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 **현재 활용 및 예시** - 스마트워치: 애플 워치, 삼성 갤럭시 워치, 구글 픽셀 워치 - 건강 관리 앱: 삼성 헬스, 애플 건강 앱, 핏빗 앱 - **핵심 기술** - PPG(광전용적맥파) 센서: 녹색 LED를 사용해 심박수를 측정 - ECG(심전도) 센서: 심장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여 심박 리듬을 분석 - **기술 발전** - 수면, 스트레스, 혈중 산소 포화도 측정 등 건강 모니터링 기능이 정교해지고 있음 - '비접촉식 체온 측정', '혈압 측정' 등 새로운 헬스케어 기능 도입이 활발하게 논의 ## 5. AI 비서 및 반려 로봇 - **현재 상태: 완전 상용화** - **현재 활용 및 예시** - 음성 비서: 애플 시리, 구글 어시스턴트, 삼성 빅스비, 아마존 알렉사 - AI 스피커: 구글 네스트, 아마존 에코 - 반려 로봇: 소니 아이보(Aibo) - **핵심 기술** - 자연어 처리(NLP): 사람의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 - 음성 인식 및 합성: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인식)하고, 텍스트를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변환(합성)하는 기술 - 딥러닝: 사용자의 패턴과 데이터를 학습하여 개인화된 응답을 제공 ## 6. 로봇 원격 수술 - **현재 상태: 급속 확산 중** - **현재 활용 및 예시** - 수술 로봇: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다빈치(da Vinci) 시스템 - 수술실 시스템: 로봇 팔이 장착된 첨단 수술실 - **주요 업체:** 인튜이티브 서지컬(Intuitive Surgical, 다빈치), 존슨앤드존슨, 스트라이커(Stryker) 등 - **기술 발전** - AI를 활용하여 수술 중 최적의 경로를 제안하는 등 AI 진단 보조 시스템과 결합 중 - 의료진의 학습 및 훈련을 위한 가상 시뮬레이션 기능이 발전 중 ## **7. VR/AR 헤드셋** - **현재 상태: 급속 성장 중** - **현재 활용 및 예시** - VR 헤드셋: 메타 퀘스트, 애플 비전 프로, 소니 PS VR - AR 안경: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 **핵심 기술** - 헤드 트래킹(Head Tracking):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등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 -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카메라를 이용해 현실 공간을 인식하고 3D 지도를 생성하여 가상 객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 - **주요 업체:** 메타(Meta Quest), 애플(Apple Vision Pro), 소니(PS VR), 구글, HTC 등 - **기술 발전** - 시선 추적(Eye-Tracking), 손 추적(Hand-Tracking) 등 직관적인 상호작용 기술이 발전 중 - 메타버스와 결합하여 게임, 교육, 업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는 중 ## ## **유리와 함께 하는 하루 2: 미공개영상. 코닝 비전의 비하인드 스토리** **초반에 빠르게 지나가는 디스플레이로 책을 읽는 모습** - e북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73113431548013 (MOU를 통한 e북 서비스 시장의 개발) 이노맥스글로벌, 네오하이테크, 알라딘 등이 선도하는 e북 분야는, 알라딘, 부커스, 밀리의 서재 등 다양한 e북 플랫폼과 이에 따른 구독형 서비스, 무인 대여/반납 서비스를 구축. **일사량에 따라 방의 채광 정도를 조절하는 모습** - 스마트 홈 https://www.l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01 (국내 스마트 홈 관련 특허 현황) https://www.etnews.com/20230501000173 (국내 사업을 주도하는 삼성과 lg) 국내에서도 삼성과 lg를 중심으로 활발한 관련 사업이 진행되는 스마트 홈 분야는, 스마트 가전, 건강관리, 보안 등의 분야로 점점 세분화되며 냉장고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거나, 지문으로 현관문을 제어하는 등 관련 기술이 다양해지고 있음. **태블릿으로 자동차를 통제하거나 태블릿 정보를 옷장, tv디스플레이와 연결하는 모습** - IoT https://www.yna.co.kr/view/AKR20241129074800063 (IoT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https://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029 (급증하는 이동통신 관련 IoT 특허) IoT 분야는 앞서 소개한 스마트 홈 뿐만 아니라 모빌리티, 에너지 제어 기기까지 NB-IoT, LTE-M기반 연결이 많아지고 이러한 제어를 위한 모듈, 디바이스 개발, 연결 시스템의 발전 등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 **신재쟁 에너지인 태양광 패널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하는 모습** - 태양광 https://www.economidaily.com/view/20240523140170248 (태양광 특허 현황)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853 (태양광 시장의 문제점과 해결책) 이미 국내 태양광 발전으로 연간 약 26GW를 생산 할 만큼 활성화 되어있지만, 현재는 전력계통 용량 부족, 수용성 등의 이유로 신규 증설은 정체되어있음. **특정 물체와 상호작용하여 공룡의 홀로그램과 설명을 보고 들을 수 있는 모습** - 증강현실(AR) https://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9731 (lg 차량용 AR특허 상 수상) https://developer.apple.com/kr/augmented-reality/ (애플 공식 AR 홈페이지) 국내에서는 lg전자, 글로벌에서는 메타, 애플, 구글 등이 선도하는 AR분야는, MHD, 모바일 플랫폼이 활발히 전개중이고, 자동차, 원격지원, 실생활 등 다양한 융합 분야로 연구됨. ## 느낀점 옛날에 영화나 뉴스에서 상상했던 일들이 정말 모두 현실이 되었다는 게 가장 놀랍다. 스마트폰으로 모든 걸 하고, 벽이나 테이블까지 화면이 되는 모습은 정말 신기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술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서 약간 무섭기도 하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상이었던 것들이 벌써 일상이 된 것처럼, 지금 배우고 있는 기술이나 미래의 직업도 AI처럼 새로운 기술 때문에 완전히 바뀔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결국, 중요한 것은 계속해서 배우고 적응하는 자세인 것 같다. 단순히 지금의 기술을 익히는 것보다, 인공지능이나 메타버스 같은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재미있고 창의적으로 활용할지를 고민하는 것이 미래에 뒤처지지 않는 방법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
2025.09.26 **1. MIT Sixth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Why (왜)? 디지털-물리 세계의 단절 해소: 인간은 오감으로 물리적 세계를 인지하지만, 가장 유용할 수 있는 정보(데이터, 지식, 온라인 정보)는 디지털 세계에 갇혀 있어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습니다. 정보의 민주화 및 즉각적 접근성: 정보를 '화면'이라는 제약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필요와 맥락에 맞춰 실시간으로 주변 환경에 통합하여, 누구나 더 직관적으로 정보를 얻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What (무엇을)? 웨어러블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Wearable Gestural Interface): 사용자가 착용하는 소형 장치를 통해 디지털 정보를 물리적 세계에 투사(Augment)하고, 자연스러운 손 제스처를 인식하여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는 현실 세계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How (어떻게)? 하드웨어 구성: 주머니에 넣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펜던트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했습니다. 이 장치는 저렴한 상용 부품인 미니 프로젝터, 거울, 웹캠(카메라)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기술: 카메라: 주변 환경과 사용자 손동작을 촬영하고 분석합니다. 프로젝터: 카메라가 분석한 결과에 따라 디지털 정보를 주변의 벽, 종이, 피부 등 모든 표면에 투사합니다.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 붙인 색깔 표시(Colored Markers)를 추적하여 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확대/축소, 스크롤, 사진 촬영 등 특정 상호작용 명령(제스처)으로 해석합니다. **2. 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경하였나요??** 키보드 키보드는 물리적인 입력 도구가 아닌, 제스처와 손으로 물건을 다루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대체됩니다.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는 대신, 우리가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보를 입력하거나 검색어를 입력하는 대신, 물리적인 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찾습니다. 예를 들어, 물건을 표면 위에 올려놓으면 관련 디지털 정보가 표시됩니다. 종이와 마이크 클립을 활용하여 만든 장치로, 종이를 터치하는 소리를 입력 신호로 사용해 종이 위에서 컴퓨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마우스는 손의 동작을 추적하고 인식하는 방식으로 대체됩니다. 초기 실험에서는 실제 마우스의 내부 부품을 활용하여 2달러짜리 동작 감지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이 장치는 물리적 세계의 움직임을 디지털 세계로 복제합니다. Sixth Sense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사용자의 모든 제스처를 추적하고 이해하여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는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핀칭 동작 등으로 지도 확대/축소 또는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손바닥을 표면 삼아 전화번호를 누르는 동작도 가능합니다. 모니터 모니터는 더 이상 고정된 직사각형 장치가 아니며, 주변의 모든 표면이 디지털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이 됩니다. 기존에는 픽셀이 포켓에 맞는 직사각형 장치에 갇혀 있었지만, 이러한 경계를 제거하고 디지털 정보를 물리적 세계 위에 칠하는 방식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헤드 마운트 프로젝터로, 주변 세계를 디지털 정보로 증강하는 장치입니다. 어떤 표면이든, 심지어 벽도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손바닥도 간단한 작업을 위한 화면이 될 수 있습니다. 신문, 탑승권 등 물리적인 종이 위에도 실시간 정보(날씨, 비행 지연 등)를 투사하여 표시합니다. **3. MIT Sixth Sense Project 팀이 만든 내용이 현재에는 어떠한 장비로, 어떻게 구현이 되었을까?** 1. 현재 구현 장비 및 구현 방식 1) 구현 장비 디스플레이/투영: 미니 빔 프로젝터 (벽, 손바닥 등 모든 표면에 투영) -> AR 안경/헤드셋 (예: Apple Vision Pro, Meta Quest, Microsoft HoloLens) 인터랙션/추적: 카메라 및 손가락의 컬러 마커 사용 -> 다중 센서 시스템 (내부 및 외부 카메라, 적외선 센서, LiDAR 등) 착용 형태: 펜던트 형태의 장비 또는 헬멧에 부착한 형태 -> 안경 또는 스키 고글 형태의 통합된 헤드셋 2) 구현 방식 시선 추적 및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AR 안경은 도파관 기술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 시야에 가상 이미지를 선명하게 투사합니다. 사용자는 시선 추적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고, 음성 인식이나 손 제스처를 조합하여 직관적으로 상호작용합니다. 자연스러운 제스처 제어: 초기 Sixth Sense가 손가락에 부착한 컬러 마커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현재는 AI와 고정밀 카메라가 마커 없이도 꼬집기, 누르기, 줌인/줌아웃 같은 자연스러운 손 움직임을 정확하게 인식합니다. 정밀한 공간 인식: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과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의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환경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파악합니다. 이는 가상 객체가 실제 공간에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보이게 합니다. 2. 약 15년 전 MIT 기술과 현재 기술의 발전 모습 1) 하드웨어의 소형화 및 정교화 15년 전: 프로젝터와 카메라를 몸에 부착하는 프로토타입 형태였으며, 휴대성이 떨어지고 외부에 빛을 쏴야 하는 물리적 한계가 있었습니다. 현재: 모든 부품이 안경이나 헤드셋 형태로 초소형화, 경량화되었습니다. 또한, 해상도가 높고 밝기가 밝은 환경에서도 디지털 정보가 선명하게 보이는 고성능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2) 마커 기반 제스처에서 마커리스(Markerless) 인식으로의 전환 15년 전: 손가락 끝에 색종이나 컬러 마커를 부착하여 카메라가 이를 추적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현재: AI 기반의 컴퓨터 비전 기술 덕분에 사용자는 아무것도 착용할 필요 없이 맨손으로 가상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핀치, 줌, 스크롤 등 복잡한 조작을 손의 미세한 움직임만으로도 수행 가능합니다. 3) 연구실 개념에서 상업 및 산업용 솔루션으로의 확장 15년 전: "누구나 만들 수 있는 $300짜리 시스템"을 목표로 오픈 소스화를 시도한 연구 프로젝트였습니다. 현재: 소비자용: Apple Vision Pro와 같은 기기는 엔터테인먼트, 생산성, 소셜 네트워킹을 결합한 공간 컴퓨팅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산업용: AR 글래스는 아우디와 같은 기업의 물류 관리, 제조 현장의 원격 협업, 장비 유지보수 작업 지침 제공 등 실제 업무 환경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025.10.03 - 프로젝트 내용 여기에 넣으시면 됩니다
2025.10.10 우리가 그린 2040 / 2050 년의 모습 (추후 수정) image
2025.10.17 - 프로젝트 내용 여기에 넣으시면 됩니다
2025.10.24 - 프로젝트 내용 여기에 넣으시면 됩니다
2025.10.31 image


4️⃣ 인상 깊은 활동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Image](src)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