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레카 프로젝트💕
🙋♀️ 팀원 소개
| 이름 | 전공 | 관심사 | 
|---|---|---|
| 문가은😸 | 소프트웨어전공 | 웹 | 
| 최윤지💎 | 정보보안암호수학과 | 데이터분석 | 
💪🏻팀 슬로건
이번학기 soft하게~🚗🍃
😎팀 소개✌️
| 이름 | 학년 | 관심사 | MBTI | 목표 | 
|---|---|---|---|---|
| 문가은 | 1학년 | 웹 | INTJ | 모든 일을 성실하게 하자 | 
| 최윤지 | 4학년 | 데이터분석 | ISFP |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자 | 
2️⃣ 공통된 관심사 : 카공, 혼자있기
| 이름 | 관심사 | 
|---|---|
| 문가은 | 웹, SI(System Integration), 여행, 사진, 카공, 혼자있기 | 
| 최윤지 | 데이터, 인공지능, 통계, 카공, 혼자있기 |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 기관/부서 인터뷰
###✔️ 현장 탐방
###✔️ 멘토링
- 내 지도 교수 함게 만나기
- 대학원 방문 및 선배 만나기
###✔️ 프로젝트 진행
-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Team mission1
 현재 실현된 기술: 태양열 발전 주택, 전기자울자동차, 소형TV전화기(스마트폰), 전파신문(인터넷 기사), 움직이는 도로(무빙워크), 로봇 청소기, 원격 학습(인터넷 강의)
 
 ✏️느낀점
 문가은: 그림을 보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은 뛰어난 ‘상상력’에 대한 놀라움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전기 자동차,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기술들이 실현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했을 텐데, 이 개념들이 오늘날 우리의 삶에 당연하단 듯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 인상깊었다. 과거에 이러한 상상들이 현재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해주고 있다. 이처럼 현재 우리가 불편하다고 느끼는 것들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상상’하면 미래의 기술 발전을 이끌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내가 현재 해결하고 싶은 문제가 무엇인지 계속해서 생각해나가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상상하고, 또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나’로 성장하고싶다.
 최윤지: 과거에 상상했던 것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니 지금 상상한 것도 나중에 언젠가는 다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신문이나 뉴스 등을 관심있게 보고 미래에 어떤 것이 이루어지면 좋을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미래에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Team mission2 
 현재 실현된 기술: 스마트페이, 네비게이션이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것, 아이패드로 필기하는 것, 터치스크린, OTT
 
 ✏️느낀점
 문가은: 영상에서 상상력을 발휘하여 미래 모습을 그려낸 게 인상깊었고, 현재 우리가 예측하는 미래의 모습도 지금은 상상일 뿐이지만 미래에는 현실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윤지: 아직 유리로 모든 걸 공유하는 세상은 오지 않았지만 영상을 보니 좋은 아이디어가 많고, 실제로 이루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언젠가 올 유리로 된 세상이 기대가 된다.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1.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Why? 
 물리적 세계의 움직임을 디지털 세계에 구현하기 위해,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What?- 디지털 화면을 어디에나 가지고 다니면서 주변에 있는 인터페이스로 사용 가능하게 함.
- 손으로 제스처를 취하여 디지털 세계의 동작들을 구현함. ex) 사진 촬영, 확대/축소
- 물리적인 물건에 실시간 정보가 출력되도록 함.
ex) 비행기 탑승권에 실시간 지연, 결항 정보 출력, 신문에 실시간 날씨 정보 출력 등
 How? 
 손으로 사물 인식 → 모바일 처리 → 표면 투사(종이, 벽, 손바닥 / 필요 시 클립보드로 고정)
 
 2. 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경하였나요??
- 
    키보드는? 
 종이나 손바닥 위에 숫자, 키패드를 투사하고 손가락 터치로 입력 가능
- 
    마우스는?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는 대신에 두 손을 사용해서 확대, 축소를 할 수 있음
- 
    모니터는? 
 고정형 모니터 대신 주변 표면(ex종이, 벽, 손바닥)이 임시 화면이 됨.
 종이에서 본 내용은 데스크톱, 모바일과 전송·동기화 가능3. MIT Sixth Sense Project 팀이 만든 내용이 현재에는 어떠한 장비로, 어떻게 구현이 되었을까? 
- 
    현재의 기술과 약 15년 전에 MIT에서 진행한 기술의 발전 모습은? 
 💡표시(디스플레이) 방식
 과거: 목걸이형 프로젝터로 벽·종이·손바닥 등 주변 표면에 투사 → 임시 화면 사용
 현재:
 헤드셋(XR): 기기 내부 디스플레이로 현실 위에 직접 오버레이
 스마트폰 AR: 폰 화면 위에 카메라 영상 + 가상 정보 오버레이
 
 💡입력(인터랙션) 방식
 과거: 카메라가 손가락 마커(색 테이프 등)와 기본 제스처(프레이밍·핀치)를 인식
 현재: 마커 없이 손 움직임을 읽고(핸드 트래킹), 시선으로 가리키고 손으로 선택, 음성으로 명령
 핀치/탭/드래그·스크롤 등 제스처 표준화
 
 💡장치 형태(플랫폼)
 과거: 카메라 + 프로젝터 + 모바일을 엮은 목걸이형 프로토타입
 현재:
 헤드셋 중심(공간 컴퓨팅): Apple Vision Pro, Meta Quest, Magic Leap 등
 스마트폰 AR: ARKit/ARCore 기반 앱(텍스트/사물 인식, 번역, 검색 등)
 스마트글래스·넥밴드: 주로 산업 현장이나 특수 목적에 제한적으로 활용
 
 ➡️프로젝션 중심의 데모 단계에서 헤드셋·스마트폰 중심의 공간 컴퓨팅으로 진화하며, 일관된 표시와 손·시선·음성의 정밀 트래킹을 통해 실사용성과 확장성이 크게 높아졌다.- 우리가 상상한 미래
- 우리가 그리는 미래 그리고 나
 ✔️ 각오와 소감 나누기 
 
 

4️⃣ 인상 깊은 활동
- 활동명 – 활동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배운 점을 작성
- 예: 멘토링에서 실리콘밸리 현업 경험을 들을 수 있어 진로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 예: 현장실습 제도
- 예: TOPCIT 정기평가
- 예: 졸업 후 진로(대학원/취업)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