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12팀
1️⃣ 팀원 소개
| 이름 | 전공 | 관심사 | 
|---|---|---|
| 김재영 | 소프트웨어전공 | 모바일 앱, 인공지능 | 
| 김성호 | 소프트웨어전공 | 클라우드, 프론트엔드, 백엔드, 인공지능 | 
| 이호태 | 소프트웨어전공 | 알고리즘, 시스템 프로그래밍, 스타트업 | 
| 망다흐 | 소프트웨어전공 | 백엔드, 모바일 앱, 프론트엔드, 인공지능 | 
| 이종우 | - | - | 
팀 슬로건
비전을 통해 더 나은 버전으로
팀 소개
우왕좌왕 5명의 개발 생존기 ***
2️⃣ 공통된 관심사 : 인공지능, 게임, 여행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 
    기관/부서 인터뷰 ✔️ 
- 
    현장 탐방 ✔️ 
- 멘토링 ✔️
    - 내 지도 교수 함게 만나기
- 대학원 방문 및 선배 만나기
 
- 프로젝트 진행 ✔️
- 
    Project 1 :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1
- 
        현재 실현된 기술 : 태양열 발전 주택, 전기자동차, 움직이는 도로(ex: 무빙워크), 소형TV전화기(스마트폰), 원격수업, 로봇 청소기, 스마트 부엌, 전자신문, 원격진료(가능은 하지만 문제 있음), 달나라 여행(가능은 하지만 대중화되지는 못함) 이름 느낀점 김재영 과거에는 상상만 했던 것들이 현재에 와서는 거의 실현되어 일상이 되었다는 것이 놀라웠고 원격진료나 달나라 여행처럼 아직 상용화되지 못한 기술들도 있는데 이런 것들이 일상이 되는 미래가 기대된다. 김성호 불가능하고 꿈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이제는 어찌보면 당연한 기술이 되어있어서 굉장히 놀랐습니다. 이를 보며, 상상의 한계를 정하지않고 생각하게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호태 1965년에 상상했 던 것들이 많이 실현되어 놀랍게 느껴졌고 특히 통신, 배달 같은 부분은 현실과 거의 똑같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나머지 아직 완전히 상용화되지 못한 기술들도 위 그림에서 상상했던 부분들과 방향성은 거의 비슷하다는 것도 나에게 신기하게 느껴졌다. 우리가 과거에 상상했던 게 지금 현실이 된 것 처럼 우리가 지금 상상하는 것들도 미래에는 상용화 될 수 있다는 걸 생각하면 앞으로 기술적 발전이 더더욱 기대된다. 망다흐 1665 년때 상상헀던 것들을 이제 보니까 과반수가 실현됐을 뿐더러 우리도 미래를 상상할 수 있고 그거를 위해 노력하면 불가능 것들이 많지만 하나 하나씩 할 수 있다고 생각헀다. 
- #2
- 
        현재 실현된 기술 : 자율주행, 투명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카드 기능, 터치 디스플레이… 이름 느낀점 김재영 영상을 보면서 말도 안된다고 생각했던 장면들이 있었는데 이중에 일부는 실현 되었다는 사실이 놀라웠고 지금은 불가능한 기술들이 미래에 실현되어 사용할 날이 기대가 된다. 또, 기회가 된다면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업무를 해보고 싶다고 느꼈다. 김성호 — 이호태 영상들을 보기 전 위에 나온 기술들이 우리의 일상 아주 깊고 세세한 부분까지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위 영상에서는 일상에 자연스레 스며들고 기계가 우리의 일을 대신하는 것이 아닌 나의 역량을 더더욱 높게 도와주는 부분이 미래의 기술이 사람이 중심이 되어 펼쳐 나가는 게 인상깊었다. 망다흐 미래를 생각할수록 설레면서도 한편으로는 조심스러웠다.기술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지만, 동시에 인간의 본질을 시험하는 도전이 되기도 한다.미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프로그래밍이 아니라, 바로 윤리적으로 사고하는 힘이라는 것을.기술의 속도에 휩쓸리지 않고, 그 흐름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지혜가 필요하다.어쩌면 미래의 우리는 기술을 지배하는 것보다, 자신을 이해하는 경쟁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 Why?: 디지털 세계와 현실 세계를 연결하고 싶어서
- What?: 센서로 움직임을 감지해서 디지털 세계에 표시하는 장치, 3D세계를 직접 그리게 할 수 있는 장치, 목걸이로 벽이나 종이을 인터페이스로 활용하여 시각정보를 나타내주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각하여 상호작용하는 장치
- 
        How?: 빔 발사 장치로 시각 정보 표현, 카메라로 정보 수집, 센서(카메라, 마이크) 등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를 사용해서 
- #As-is vs To-Be는 어떻게?
-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경하였나요?
- 키보드는?: 물리적 키보드 타건 -> 공중, 책상에 투사된 가상 키보드, 손동작
- 마우스는?: 마우스 클릭, 드래그 -> 제스처, 직접 조작
- 
        모니터는?: 화면에 영상 띄움 -> 사물, 벽 위에 정보 투사(증강현실) 
- 
        우리가 상상한 미래
- 
        원본파일 링크 : https://drive.google.com/file/d/1zXvq1zezPxNFhy4QAJvTSRMSjSbjfJQ-/view?usp=drive_link 
- LLM Prompt
- 
        2050년도 집의 일상 모습을 배경으로 해서 웨어러블 렌즈로 보는 느낌으로 좌측 상단에는 시간, 날씨, 건강정보(고혈압)이 좌측 부분에는 분석한 건강 상태에 따라 음식을 추천해주고 3D프린터 레시피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우측에는 뉴스들이 들어가고 첫번째로 국내 8호 핵융합발전소 건설을 주제로 한 기사가 있고 관련 사진도 같이 넣어줘 두 번째로 AI로 인한 해킹사건을 주제로 만들어주고 관련 이미지도 넣어줘 세번째는 실직자를 위한 교육 캠프를 주제로 실직자들이 신기술을 배우는 이미지를 넣어주고 네번째에는 유전자 조작 아이를 두고 사람들이 토론하는 모습을 넣어줘 공간이 있다면 신상 옷 디자인을 홍보하는 광고가 들어간 이미지를 제작해줘 
- 발표내용
- 저희는 ‘미래의 눈으로 보는 일상’이라는 주제로 25년 뒤의 미래를 구상해 보았습니다. 우선, 그림은 웨어러블 렌즈를 통해 보는 미래 모습을 표현한 것인데요. 우리의 시야 위로 시간, 날씨부터 뉴스까지 다양한 정보가 떠오릅니다. 카메라를 포함한 센서를 이용하여 우리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화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에는 모두가 들고 다녀야 하는 스마트폰 대신 입고 다니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합니다. 이쪽의 HEALTH 부분을 보시면 건강 상태가 나와있는데요. 사용자의 몸 안에 들어간 나노로봇이 사용자의 몸 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사해준 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내줍니다. 렌즈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는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치료에 참고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밑을 보시면 추천 음식이 나와있는데요.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렌즈가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메뉴를 추천해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의 3D프린터 레시피를 확인하고 원하는 레시피를 선택하면 렌즈와 연동된 3D프린터가 음식을 제조하게 됩니다. 이 프린터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포함한 몇가지 재료만 있으면 각각의 재료부터 요리까지 만들어주기 때문에 수고스럽게 장을 볼 필요도, 요리를 할 필요도 없고 재료 가격 역시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실제 재료와 유사한 구조로 재료들을 합성해 만들어주기 때문에 식감도 맛도 훌륭합니다. 사실은 이 집 자체도 거대한 컴퓨팅 시스템입니다. 집은 각각의 가구들과 연동되어 있어서 이제는 집안일을 하는 게 아닌 집이 일을 해주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림의 오른쪽을 보시면 2050년의 이슈들이 뉴스로 나와 있습니다. 먼저, 2050년에는 공해와 사고 위험성이 높은 화력발전과 원자력 발전 대신 핵융합발전이 주가 되었습니다. 위험성은 낮은데 에너지 효율은 높아 미래의 주력 에너지원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뉴스의 내용은 K-STAR 8호기가 건설되는 모습입니다. 이렇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우리는 더욱 윤택한 생활을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급격한 발전으로 인한 어두운 면들도 있습니다. 아래 기사를 보면 AI해커에 관한 내용이 나와 있는데, 미래 사회는 생활과 기계가 더욱 밀접하게 연관된 만큼 해킹에 대한 위험성도 굉장히 큽니다. 보안 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변화하는 AI해커가 등장함에 따라 보안상의 취약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기계로 인해 더욱이 윤택한 삶을 얻은 대신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직업을 잃게 되었습니다. 음식,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직자가 쏟아져 나오고 이는 미래 사회의 주요 문제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전자 조작 기술에 대한 논쟁도 더욱이 뜨거워졌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인간에게도 쉽게 유전자 조작이 가능한 수준이 되었고 그것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위의 내용은 유전자 조작 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저희는 미래의 눈을 통해 2050년을 보았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편의를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발전으로 인한 어두운 면도 존재했습니다. 저희는 이 활동으로…
- 우리가 그리는 미래 그리고 나
 
- 각오와 소감 나누기 ✔️
 
 

4️⃣ 인상 깊은 활동
- 활동명 – 활동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배운 점을 작성
- 예: 멘토링에서 실리콘밸리 현업 경험을 들을 수 있어 진로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 예: 현장실습 제도
- 예: TOPCIT 정기평가
- 예: 졸업 후 진로(대학원/취업)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