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10팀
미래 예측 발표자료
.png)
- 고글(스마트 글래스/비전프로)를 통해 바라본 미래의 모습을 이미지로 제작하였습니다.
- 기술과 예측 모습, 이 활동을 통한 인사이트는 본 포스터와 발표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팀원 소개
| 이름 | 전공 | 관심사 | 
|---|---|---|
| 이지유 | 소프트웨어전공 | 해외인턴, 인공지능, 자율주행, 독일어 | 
| 정민균 | 소프트웨어전공 | 인공지능, 운동, 영어회화, 고양이 | 
| 조연지 | 소프트웨어전공 | 성장, 회고와 기록, 기획, 해커톤, 운동, 커뮤니티 운영, 강아지 | 
| 이승원 | 소프트웨어전공 | 인공지능, 회화, 창업, 운동, 영어, 쿼카 | 
| 김영원 | 소프트웨어전공 | 알고리즘, 최적화, 시스템 프로그래밍, 전자기기, 영어, 고양이 | 
팀 슬로건
ESG(Errors spice the code, Growth flavors the soul)
->에러는 코딩의 맛, 성장은 우리의 맛!
->프로젝트를 하면서 코딩의 여러 시행착오가 있을지라도 그 과정을 통해 성장하겠다는 각오를 담음
팀 소개
저희 10팀은 소프트웨어 전공자 5명으로 구성된 팀으로, 각기 다른 관심 분야를 가진 멤버들이 모였습니다. 저희는 ‘에러는 코딩의 맛, 성장은 우리의 맛!’이라는 슬로건 아래, 유레카 프로젝트 과목에서 실패(에러)를 두려워 하지 않고 미래에 대해 고민하며 함께 성장해보고자 합니다.
한 학기 동안 기관 및 현장 탐방과 멘토링 활동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과거-현재-미래를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우리가 만들고 싶은 세상을 구체화할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각자의 미래를 위한 유레카를 발견하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각오
| 이름 | 각오 | | — | — | | 이지유 | “전공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가고, 열심히 경험을 쌓을 것 입니다!” | | 정민균 | “ “ | | 조연지 | “ “ | | 이승원 | “ “ | | 김영원 | “세상을 보는 눈을 넓히기 위해서 능동적으로 활동할 것입니다.” |
2️⃣ 관심사
1.공통된 관심사 : 여행, 운동, 초심자
2.특이한 관심사 : 커뮤니티 운영(GDG), 보안, 해외인턴, 클라이밍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 3주차: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1)1965년에 그려진 이정문 화백의 그림속 현재 실현된 기술과 느낀점 |이름|현재 실현된 기술|느낀점| |—|—|—| |이지유|전기자동차, 태양열을 이용한 에너지교환 시스템, 가정용 로봇(피지컬 ai)|영화,소설 등과 같은 예술이 과학의 발전보다 앞서나가서 미래를 예측한다고 느꼈다.대중들이 갈망하는 기술을 과학기술자들이 구현해나간다 생각하니 굉장히 설레는 마음을 느꼈다.미래에는 나도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일을 하고 싶다.| |정민균|움직이는 도로(무빙워크), 전기자율주행차, 로봇청소기 등 그림에 나온 대부분이 실현됐다.|그림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그저 상상에 불과하고 이런 세계는 오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림의 대부분이 실현되었고, 우리가 지금 상상으로만 ‘이게 가능할까’ 하는 것들이 미래에는 거의 다 실현될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다.이러한 통찰력을 기르기 위해 과감히 상상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고 생각했다.| |조연지|태양열 발전 주택, 자율주행전기차, 움직이는 도로(무빙워크), 스마트 부엌(IoT 활용) 등 그림 대부분이 실현되었고, 상용화되었다.|미래를 상상하고, 예측하는 것은 쉬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이 대체적으로 맞고, 여전히 아주 잘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화백의 통찰력이 느껴졌다. 기술을 예측하거나, 잘 쓰일 기술을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주변과 사회에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생각을 했고, 뉴스 등을 보며 견문을 넓혀 사회에 기여하는 통찰력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승원|태양열을 이용한 집 –> 태양열,풍력 과 같은 신제생에너지를 이용해 외부 에너지 의존을 최소하하는 주택이 많이 생겨남공부도 집에서 함–> 인터넷 강의 사이트를 활용한 학습이 널리 이용됨.움직이는 도로 –>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로 발전.|만약 내가 1965년에 있고 이정문 화백이 예측한 2000년대의 모습을 보았다면 허무맹랑한 망상으로 여겼을것이다. 하지만 2000년대 그림 대부분의 것들이 실현되었고 워낙 볼거리들이 많은 지금이다. 그렇기에 내가 지금 우스갯소리로 상상하는 것들(SF영화에서 보여주는 미래들등)이 30년 뒤면 실현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고 어쩌면 확신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느꼈다.| |김영원|우주여행/현재 상용화 되진 않았지만 우주탐사가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개발됨.| 대부분이 이루어진것을 보면 운으로 때려맞춘게 아니라는 것을 알수 있는데, 기술이 개발되고 상상과 부합하는지 보는게 아니라 상상을 따라 기술이 개발되는 것 같다. 상상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꿀 수 없고 상상을 하면 언젠가는 이룰 수 있다고 느꼈기에 지금부터는 실용적이지 못하더라도 마음껏 상상해야겠다.+ 세상을 보는 눈을 넓히고 싶다.|
2) 3개의 영상 속 현재 실현된 기술과 느낀점
   |이름|현재 실현된 기술|사례|느낀점|
   |—|—|—|—|
   |이지유|피지컬 ai|피지컬 AI는 AI 기반모델(두뇌), 컴퓨터 비전·센서(감각), 엣지 컴퓨팅 및 네트워크 인프라(연결), 제어 및 액추에이터(행동) 등의 첨단기술 융합을 통해 인간처럼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판단·행동함으로써 환경과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의.
주요 기술 수준과 형태에 따라 휴머노이드형,자율주행차형,드론형,AGV & AMR형으로 분류.
대부분의 국가에서 차세대 사업으로 조명.구글의 딥마인드-제미나이를 바탕으로 physical ai구현에 주력
테슬라 – Project Optimus)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가속화
피규어ai-휴머노이드형 피지컬 ai개발을 선도하는 미국의 스타트업으로 글로벌 노동력 부족 문제해결을 목표로 함,2025년 2월 VLA(Vision-Language-Action) 모델 헬릭스 공개
엔비디아-project GROOT, 휴모노이드형 피지컬 ai파운데이션 모델구축 추진
Agility Robotics-digit(산업 빛 물류 환경에서 픽앤플레이스 작업을 수행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Boston Dynamics-2013년 altas출시, 2024년 새로운 전기구동 버전으로 대체(달리기, 점프, 다중 팔다리를 이용한 균형 유지 등의 기능), 2020년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 [출처] IS-202 피지컬 AI의 시사점 | 영상 속 사람이 숲속에서도 태블릿을 통해 업무가 가능했던것처럼 실제 스타링크 기술이 개발 됨으로 환경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겠다라고 느낌. 네팔의 고산지대 사람들이나 오지사람들은 통신망의 설치가 되지 않아 현대문명에서 소외되어야 했지만, 우주에서 통신망이 연결됨으롬써 그러한 격차가 줄어들 수 있겠다라는 희망을 가지게되었음. |
   |정민균|사이버가수|플레이브-모션캡처기술을 기반으로 한 가상 보이그룹, 네이비스(Naevis)-SM엔터테인먼트가 선보인 가상 아이돌로,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 AI 기반 음성 합성으로 노래와 대사를 만들었다.
k/da-증강현실(AR)과 3D 그래픽 기술을 활용한 무대 연출이 큰 화제| 1965년의 그림을 보며 그 당시 사람들은 픽션이라고 생각했을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 그 그림을 보면 거의 모든 것이 실현됐다. 이번에 유리 관련된 기술들을 보면서 이 기술들이 지금은 먼 미래 같지만 나중에는 당연시하게 되는 그 순간을 기대하게 되는 것 같다. |
   |조연지|corning의 투명 디스플레이|투명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고성능 기판 소재를 개발하고, 파트너사와 협력하여 기술을 구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해당 기술은 높은 투명도를 자랑하며, 양쪽에서 모두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업 공간이나 회의실에서 새로운 형태의 소통과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최근(25년 4월) LG디스플레이에서는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 승강장 안전문에 투명 OLED를 적용해 노선도와 운행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을 정도로 상용화가 진행중이다.|마이크로소프트의 비전 영상을 보며 기술의 발달로 공간의 제약이 사라지면서 산 속, 바닷가 등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될 미래가 기대되었다. 또, 단순한 제조업이라고 생각했던 유리업체가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유리 이상의 스마트한 유리를 만들어 내는 모습을 보며 새로운 자극을 받게 되었다. 과거에 제시했던 비전이 서서히 맞아가는 것을 보며 나도 실현 가능한 비전을 세우고 가능할 것이라고 믿으며 실현시켜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근거 있는 예측을 위해 통찰력을 가지며 뉴스에 관심을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승원|초대형·다중 터치 지원
기술 동향: 65인치 이상 초대형 디스플레이에서 40지점 이상의 멀티터치 입력을 지원하며, 다인 협업과 복합 제어판으로 활용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Tesla Model S Plaid+의 센터스크린(17인치)보다 더 큰 56인치 곡면 패널을 탑재한 Mercedes-Benz MBUX Hyperscreen은 40지점 멀티터치로 동시 다중 사용자를 지원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N9ZGNfkZSg(5분 17초 부터)|모든 장소에서 대시보드를 사용할 거라는 말에 실제로 벽, 창문, 가구가 모두 화면이 되어 대화하고 정보를 주고받는 모습이 생각나 먼 미래가 아님을 느꼈다. 또 그 미래에 내가 살고있는 것을 상상하니 벅차다.|
   |김영원|1. 원격 실시간 번역 소통   2. 움직이는 신문|1. 언어가 다른 나라의 아이들이 원격으로 소통하는 기술: 대형 디스플레이 + 실시간 번역(ex. 삼성 스마트폰) + AI 목소리 복제로 구현 가능할 것 같다.
(삼성 스마트폰 실시간 번역)https://www.khan.co.kr/article/202311091001001
(ai 목소리 복제 기술 상용화)https://www.youtube.com/watch?v=opL93jCCJMw
2. 움직이는 신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전자종이가 개발되었으나 신문처럼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하기도 힘들고 전력 공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LG 플렉서블 디스플레이)https://news.lgdisplay.com/2016/03/flexible-display/|미래 기술을 실현시키려면 개별 제품의 개발보다 통신망, 전력공급망과 같이 사회적 단위의 망을 구성하는게 필요할 것 같다. 영상 속의 기술이 상용화 될 미래가 머지 않았다고 느꼈기에 기술을 따라가고, 선두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4주차:상상의 현실화 그들이 만들어간 세상
1)MIT Sixth sense 연구
(1)MIT 연구팀이 만들려 했던것 : 착용형 제스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술. 디지털 세계를 현실에 구현하고자 함
(2)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의 입출력 장치를 : | 입/출력 | 구현방안 | | — | — | | 마우스&키보드 |마우스->현실공간 by 착용형 제스처 인터페이스: 손가락에 색 마커 붙인 후 카메라가 추적해 제스처를 입력신호로 사용 | | 모니터(출력) |모니터->현실공간 by 프로젝터 : 프로젝터가 모든 표면(모든 물리적 환경)을 디스플레이로 전환 |
(3)관련된 기술의 현 상황 | 이름 | 조사내용 | | — | — | | 이지유 | 스마트 글래스: 초저전력 이벤트 기반 카메라와 제스처인식 시스템을 토대로 한 스마트 안경/착용형 기기용 HCI솔루션 | | 정민균 | | | 조연지 | 레이저 프로젝션 키보드: 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평평한 면에 레이저로 키보드 또는 스크린을 띄운 뒤, 적외선 센서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나 키 위치를 인식한다. 다만, 물리적 피드백이 없어서 오타율이 높거나 타자가 느릴 수 있다. 해당 단점은 햅틱 장갑 등의 다른 기술과 융합하여 해결할 수 있다. | | 이승원 | | | 김영원 | 어디서든 손이 자유롭게 모니터를 보는 기술은 증강현실(AR)로 발전한 것 같다. 현실과 디지털 세상을 융합하는 예시로 애플의 비전프로를 사용한 공간컴퓨팅이 있다. |
-5주차 : 우리가 상상한 미래 1) 로봇
-로봇이 환경미화원, 서빙등의 노동을 대체할 것.
-로봇택시 : 자가용, 면허가 필요없어질 것. 집마다 전용 운전비서처럼 사용!
-휴머노이드 : 인간관계 대체, 가정용 비서.
-드론택시, 드론 배달 : 공중을 이용한 이동 또한 보편화 될 것.
2) 인공지능
-자율주행의 상용화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따른 ai기술 발전 : 개인 인공지능 비서 -> 개인화, 파편화가 심해지고 일반적인 인간성에 대한 기준이 바뀔 것. -> 또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일상생활의 대부분을 개인 비서가 담당하며 업무적인 측면또한 담당하므로) 예) 개인의 컨디션에 따라 업무 시간 조정, 인간이 부재중인 경우 개인비서가 대인업무담당(아이언맨의 ‘자비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학습 지도
3) 증강현실,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스 : 온라인 쇼핑의 편의성 증가. 집에서도 상품을 3D로 관찰 가능
-가상현실을 이용한 운동, 여가 : 가상현실의 현실성을 높이는 기술이 발전하며 instant형식의 운동이 가능 해지고, 집에서 즐길수 있음. 예) 운동하러 나갈 시간이 없을떄 점심시간이후 잠깐 운동
-사무실의 대체 : 회의나 대면 업무를 증강현실/가상현실을 이용해 처리하며 재택근무의 빈도가 증가 -> 출퇴근의 필요성 감소하며 이동수단의 개인화가 발생할
- 원격진료 4) 순간이동
- 정보의 순간이동과 관련된 양자 인터넷은 양자 얽힘을 이용해 전 세계적으로 안전하고 초고속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구축 중.
- 5) 분야별 미래 상상
| 분야 | 내용 | 
|---|---|
| 바이오 | 로봇의 마이크로화 : 심혈관, 뇌혈관 질환의 완치율 증가! 또한, 사후예방도 로봇으로 복제인간 : 장기 이식자를 구할 필요없이 개인의 조직세포를 이용해 배양, 이식 -> 수명 증가 로봇의 발전으로 수술인력이 대체 | 
| 금융 | 블록체인의 발전으로 금과 같은 재화를 가상화폐가 대체 | 
| 환경 | 초전도체와 같은 신소재의 발전으로 데이터센터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환경오염 방지 | 
| 우주탐사 | 우주로의 왕복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함 : 발사체가 다시 되돌아오는 항법 & 중력장 기술 :우주센터, 정거장 구축 로봇 청소부 = 우주 쓰레기 정리 | 
| 주거환경 & 여가생활 | ar,vr을 이용한 원격 접촉 -> 복합쇼핑센터의 필요성 감소하며 공공장소, 복지센터 위주의 건축 -> 도시 전체의 비중에서 녹지의 비중이 증가할 것! 집에서 대부분 해결할 수 있게되며 집 = 개인의 휴식공간 개념 강화 ->이동의 편리성이 집을 보는 요건에서 사라지고 숲속, 바닷가마을 등 원하는 곳에 살수 있음 빅데이터 기반의 데이팅앱 의존성 증가 | 
5)질문 : 기술발전이 여우/경쟁심 무엇을 가져올까?
6)기술 트랜드
초개인화 업무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원격근무가 확산되었으며 메티버스/VR 업무 공간이 늘어나고 있다.
-햅틱같은 기능도 발전되고 있고, 실제 사람을 대면하는 것처럼 물리적 피드백을 주는 장갑을 개발 중에 있으므로 2040년에는 해당 기술이 상용화 될 것 같다.
-자율주행 택시 성행 및 공유경제 활성화 : 미국에서는 일부 시범운행중인데, 차량은 이제 또다른 프라이버시, 개인 공간으로 인정받을 것이며 초개인화되어 이동 중에 무엇이든 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할 것이다.
-AI 비서를 통한 초개인화, 생활 및 업무 관리 : 내 건강 상태를 트래킹하는 기술이 있으나, 완전 상용화되고 활용되지는 않고 있다. 머지않아 내 수면 패턴을 분석하고 가장 적절한 시간에 깨워주는 알람이 생길 것이다.
로봇
-드론 택시: 드론 택시가 개발된지는 꽤 됐으며, UAM이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2040년 이후면 보편화 될 가능성이 높다2040년
-드론 배달: 이미 사용하고 있지만 보편적이지 않다. 2040년2040년 쯤엔 충분히 상용화 될 것이다
-기계 신체: 기계 의수와 의족이 개발되어 몇년 후면 상용화 될 것 같다. 인체의 전기 신호를 읽고 AI로 분석하는 기술이 발전하면 2040년 이후엔 각종 신체 부위와 장기를 기계로 대체할 수 있을 것 같다.
-로보 택시 : 향후 공중으로 다니는 로보택시도 상용화 기대.
양자 컴퓨터 : 정보 순간이동
- 현재 미국, EU, 중국 등에서 실험 네트워크를 구축 중
AR&VR
- 
    Apple Vision Pro: 혼합현실 헤드셋으로, 실내·외 공간을 현실과 디지털 콘텐츠가 섞인 공간으로 변화. 여행 관련 앱, 지도, 공간 감지 등이 가능, 이미 출시됨, 일부 국가에서 판매 중. 여행자/기술 얼리어답터 대상. 
- 
    Meta Quest 2 / Quest 3 + Travel Mode : 이동 중에도 VR/AR 앱 사용을 최적화 (비행, 기차 등) + 기내 서비스와 제휴하여 몰입 경험 제공, 실험 혹은 일부 항공사와 제휴하면서 일부 제공됨. 
7)상상한 미래 속의 생활상은?
- 조연지
    인간의 고림을 넘어선 초-선택적 연결 -기능별 클러스터 도시의 발생 : 초 연결사회가 되어 장소의 지배를 받지 않게 되므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활동에 특화된 마을에 모여살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골프장을 중심으로 주택이 지어져 단지가 조성된다거나 공유 주방이나 복합 미식센터를 중심으로 주택이 지어지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지능형 사회성 튜터: AI는 연결의 촉진을 담당하게 된다. 서로에게 가장 도움이 될만한 사람을 추천하고, 관련 대화 주제를 세팅해주기도 한다. 인간관계가 좁아질 수 있지만, 그만큼 더 깊어질 수도 있다. - 경쟁의 양상이 변화된다: 지금까지 밤새 열심히 결과를 산출하는 데 치중되어 있었다면, 이제는 창의적인 방법으로 최소한의 노력을 해서 최대한의 결과물을 내는 사람이 더 우수한 사람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 경쟁 양상 변화는 여가시간이 더 늘어가는 새로운 삶의 방향으로 우리를 인도할 것이다.
- 자율출근제를 할 때 함께 해야하는 업무가 있기 때문에 코어타임을 정해놓곤 한다. 내가 한 업무를 AI에게 학습시키고, 예측되는 요구사항에 대한 대비도 어느정도 해 둔다면 굳이 내 사생활이나 생활 패턴을 침해받지 않고 업무에 대한 질문을 AI 비서가 대신 해 줄수도 있을 것이다.
- 단순 홀로그램을 통해 원하는 공간에서 사무실 환경을 구축하여 재택근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시청각, 온도, 미세한 진동까지도 공유하여 실제 대면하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한다. 이에 더 높은 몰입도로 근무할 수 있을것 같다.
 
- 김영원
    기계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해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고 필요한 물자는 로봇과 드론이 배송하며, 외부 활동과 노동은 로봇이 대체한다. 아파트에서 창문 열고 드론 택시로 이동할 것 같다(외부 공기를 마실 일이 거의 없을 것 같다). -증강현실과 가상세계가 발전하여 현실 환경과 내 몸을 사이버상에 구현하고 사이버 상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활동할 것 같다. -신체 부품을 사이버펑크처럼 기계로 대체할 것 같고, 인간의 뇌를 인공적으로 구현해서 통속에 넣어서 컴퓨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정민균
    전 지구적인 연결: 거리는 더 이상 장애물이 아니다 
-미래에는 정보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보안 통신망 완성, 위성 기반 양자 통신으로 전 지구 규모의 실시간 연결이 가능할것 같다. -계산의 순간이동 : 양자 컴퓨팅 간 상태 전송 -> 글로벌 양자 컴퓨팅 네크워트 구축 -> 데이터 전송 지연이 거의 0에 수렴 -가상 관광 / 원격 체험 : 360°/VR 영상 투어, 가상 박물관, 유명 랜드마크 체험 -스토리텔링 & 게임화 : “탐험” 느낌의 여행, AR 게임 요소 결합, 보물찾기, 미션 중심 투어 등
4.이지유
**재구조화 된 도시의 모습
-이동수단과 원격통신의 발전으로 더 이상 이동의 편의성이 주거환경의 중요 요소가 되지않는다. 오지산골, 바닷마을 등 자신이 원하는 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다.
-자택 내 업무 위주로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다보니 자연에 대한 갈망이 커지고 그에 따라 도심 내 녹샌단지의 비중이 높아지고 그 곳을 중심으로 주택,아파트가 건설된다.
-소형 로봇의 발달로 심혈과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을 일상생활 내에서 관리할 수 있게된다.
-고도의 기술발달을 뒷받침할만한 데이터센터의 제고도 이루어진다. 환경을 생각하는 방향으로 건설
-골전도를 이용한 이어폰을 이용해 더 높고 활동상 높게 통역시스템을 이용
- 이승원
    인간의 업무 대부분을 로봇이 대체지만 인간은 아날로그를 향유 
-휴머노이드 로봇이 발전하며 사람들과의 인간관계를 로봇으로 대체하여 인간관계에서 생겨나는 스트레스를 줄임-> 개개인들이 자신의 집에 로봇을 구비한 뒤 그 로봇과 함께 생활해나감. 로봇은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설계되므로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로보택시와 같은 자율화 이동수단이 상용화 되어 사람들이 면허증이나 자차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발전으로 물류,유통업계가 수혜를 많이 입을 것이다.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로 바이오,AI,기후 변화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양산되어 바이오를 예를 들면 현재 못고치는 질병에 대한 신약이나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음.
- 
    ai 중점 직업군의 발전 : AI는 항상 사용자의 목적과 니즈에 맞추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니즈를 맞추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AI 작동 오류,사용자가 아닌 사람들의 불필요한 희생같은게 발생할 수 있음(예시:AI가 짜준 코딩 코드를 막상 실행하니 오류가 발생. 이 오류를 되물으면 “정확히 짚으셨네요!”라고 하는 경우).그럴 듯한 답변으로 사람들에게 환각을 일으키는 이 부분을 계속 고치는 직업군들이 살아남을 것 같음. -기술의 발전과 상용화가 된 모습과는 상반되어 오히려 예전의 아날로그 방식도 취하고 다닐 것 같음. 가끔 로보택시 대신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등 
- 
    현장 탐방 ✔️ 
- 멘토링 ✔️
    - 내 지도 교수 함게 만나기
- 대학원 방문 및 선배 만나기
 
- 프로젝트 진행 ✔️
    -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 그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 우리가 상상한 미래
- 우리가 그리는 미래 그리고 나
 
- 각오와 소감 나누기 ✔️
 
 

4️⃣ 인상 깊은 활동
- 활동명 – 활동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배운 점을 작성
- 예: 멘토링에서 실리콘밸리 현업 경험을 들을 수 있어 진로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 예: 현장실습 제도
- 예: TOPCIT 정기평가
- 예: 졸업 후 진로(대학원/취업)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