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on GitHub

eureka-251-team-e25-sw01-07

2025-2-1-eureka-template created by GitHub Classroom

Blue White Scrapbook Climate Change Campaign Poster (포스터)

Review Assignment Due Date

Welcome to 7팀 : 동휘선배님과 chil(7)dren

1️⃣ 팀원 소개

이름 전공 자기 소개 각오
김동휘 소프트웨어전공 졸업(막학기) ㅜㅜ 가지마요, LOL(다이아💎) 무사히 졸업하자
김종호 소프트웨어전공 황선태 교수님 애정해요 재수강만 피하자
김해인 소프트웨어전공 야구덕후(삼성 우승 가자) 아자아자
류 진 소프트웨어전공 99지만 새내깁니다 ㅎㅅㅎ 서른 전에 졸업하자
김도현 소프트웨어전공 우리와 함께해줘 . . .(수업 불참) 수업으로 돌아와 . .

팀 슬로건

맨땅에 해딩하는 코딩 ~~ !! ^^ (종호가 정함)

< 슬로건 해설 >
맨땅에 해딩하는 코딩
우린 길이 없어도 걸어 나선다.
넘어지면 다시 일어나고,
벽에 부딪히면 더 단단해진다.

눈앞의 오류가 산처럼 커도,
끝내 답을 찾아내는 집념.

무모해 보여도, 그 안엔
새로운 세상을 여는 용기가 있다.

우리가 줄의 코드가
밤하늘 별빛처럼 반짝이길,
그 믿음으로, 오늘도 부딪힌다.

팀 소개

21학번 동휘님과 25학번 샌애긔들


2️⃣ 관심사

| 이름 | Normal | Unique | | — | — | — | | 김동휘 | 게임개발(고수) | 수학문제 풀기 | | 김종호 | 고봉밥 | 주짓수동아리(로랜드) | | 김해인 | 최대한의 수면시간 확보 | 디자인 지망생(캐릭터&웹) | | 류 진 | 웹 개발(하수) | こんにちは。私は日本語が好きです | | 김도현 | ? | ? | | 공통 | 유레카프로젝트 성공 기원(전설의 S+을 노린다 !) |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TO BE CONTINUED . . .)


4️⃣ 인상 깊은 활동 (TO BE CONTINUED . . .)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TO BE CONTINUED . . .)


6️⃣ 활동을 마친 소감 (TO BE CONTINUED . . .)

🔗 20212965 김동휘

“소감 내용 Update 예정”

🔗 20252727 김종호

“소감 내용 Update 예정”

🔗 20253077 김해인

“소감 내용 Update 예정”

🔗 20253096 류 진

“소감 내용 Update 예정”

🔗 2025 김도현

“소감 내용 Update 예정”


3주차 활동내역 : 과거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

Team Mission 1 - 1965년에 예측한 2000년대의 미래 (이정문 화백)

현재 실현된 기술

스마트주방 1. 스마트 주방
스마트 주방은 주방 환경에서 디지털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화 및 제어를 가능케 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smartDisplay 2. smart interactive displays
터치스크린 기반의 대형 화면으로, 교육 및 비즈니스 환경에서 협업, 상호작용, 콘텐츠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기기입니다.




robot 3. 원격 화상 진료
원격 화상 진료는 의사 대신 로봇이 환자를 직접 검사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가 처방을 내립니다.









느낀 점

| 이름 | 느낀 점 | | — | — | | 김동휘 | 1965년 이정문 화백의 2000년대의 미래에 대한 상상의 대부분이 현대 기술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또한 인터뷰 내용 중 꿈과 상상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말씀이 인상적이였습니다. | | 김종호 | 이정문 화백님께서 그 당시 세계적인 과학기술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졌는지 알게되었고, 그의 창의력이 경이롭다. | | 김해인 | 이화백님의 tv를 향한 사랑이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이런 생각을 하셨다는게 너무 놀라웠습니다. | | 류 진 | 그 시절 상상한 대부분의 것들이 이루어졌지만 그 형태가 다르다는 점이 인상 깊다.
우리가 지금 상상하는 AI도 어쩌면 다른 모습으로 우리 곁에 존재하게 되지 않을까? |

Team Mission 2 - 90년대 뉴스/코닝 비전/Microsoft가 예측한 미래 (영상 자료)

현재 실현된 기술

자율주행자동차 1. 자율주행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 상황을 판단해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스로 주어진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동차입니다.



비행자동차 2. 하늘을 나는 자동차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하늘을 날 수 있게 설계된 자동차입니다.




AutoStereo 3. Auto stereoscopic 3D displays
특수 헤드기어, 안경, 또는 시청자의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장치 없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입니다.





느낀 점

| 이름 | 느낀 점 | | — | — | | 김동휘 | “Microsoft Future Vision”, “유리와 함께하는 하루”의 영상을 통해
2010년대에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들이 흥미로웠고 일부 기술들이 구현 되었다는
점에서 기술 성장 속도가 빠르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현재 2020년대의 사람들은 어떤 미래를 상상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 | 김종호 | 현재의 삶도 편하다고 느꼈건만 더 편한 미래가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놀라웠고 앞으로의 변화가 정말로 기대된다. | | 김해인 | 영상 중에서 유리의 삶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왜냐하면 가장 충격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저의 삶이 굉장히 편해지겠지만 영상을 보는 내내 저 스스로가 무능해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저는 아이들의 성장과정에서의 소근육 발달 문제나 활동 부족 문제를 야기할 것 같아 걱정이 되었습니다.
또한 집 안 곳곳에 디스플레이가 있어서 저는 감시당하는 기분이 들어 불쾌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날개를 달아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오묘한 감정을 느꼈습니다. | | 류 진 | 기업 입장에서 바라본 미래인 만큼 기업에서 만들고자하는 기술들이 드러난다. 대부분의 기술이
유지보수/비용적인 부분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상용화에는 생각보다
많은 부분을 고려해야 되는 것 같다. |


4주차 활동내역 : 상상의 현실화

Team Mission - TEDx Sixth Sense Project (영상 자료)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왜) 상상을 현실로 만들려고 . .
(무엇을) 물리세계와 디지털세계의 경계를 없애는 것이 아니고, 그 거리를 좁히는 기기
(어떻게) 웹캠과 프로젝터, 마이크 등의 원래 존재하던 기기를 활용하여 만듦

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경하였나요?
(키보드는?) 타자기 -> 모션 인식
(마우스는?) 마우스 -> 모션 인식
(모니터는?) 모니터 -> 빔프로젝터

현재는 어떻게 구현이 되었나? 어떤 장비로?

구현 장비 : 스마트폰 / 비전프로

“we fail only when we stop trying”


6주차 활동내역 : 미래를 상상해서 그려보자

  1.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내재된 팬 ( 종이 )
    펜
  2. 인간 세차장 ( 샤워가 되는 기계 )
    펜
  3. 어디로든 문 ( 순간이동 기계 ) + 1인용 헬리콥터
    순간이동 기계
  4. 사랑의 물약 ()
    사랑의물약w사람
  5. 1 가구 1 베이맥스 ( 가정용 돌봄-의료로봇 )
    베이맥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