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on GitHub

eureka-251-team-e25-sw01-06

2025-2-1-eureka-template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view Assignment Due Date

Welcome to 6팀

1️⃣ 팀원 소개

이름 전공 관심사
권민재 소프트웨어전공 인공지능, 프론트엔드
김하연 소프트웨어전공 프론트엔드, 백엔드, 인공지능
이재이 소프트웨어전공 알고리즘, 자료구조, 인공지능, 백엔드
이종현 소프트웨어전공 보안, 인공지능
김유정 소프트웨어전공 인공지능

팀 슬로건

코드로 세상을 설계하자

팀 소개

팀의 소개를 작성합니다.


2️⃣ 공통된 관심사 : 백엔드, 노래 감상, 인공지능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Team mission 1

✅ Team mission 1: 과거에 상상한 미래 기술의 현재 구현 현황

우리가 상상했던 미래는 얼마나 현실이 되었을까?

기술 상용화 여부 예상/실제 시기 구현 근거 요약
🌞 태양열 주택 ✅ 상용화 현재 태양광 설치 의무화, 단가 하락
🚗 전기 자율주행차 🔶 부분 상용 레벨3 현재, 레벨5는 2035년 이후 산업계 로드맵, 정부 규제 기준
📱 소형 TV전화기(스마트폰) ✅ 상용화 현재 영상통화, 모바일 컴퓨팅 구현
📰 전파신문 ✅ 상용화 현재 모바일 기반 뉴스 소비율 85%
🚝 움직이는 도로 ❌ 미상용화 2040년 이후 고비용, 도시 인프라 제한
🤖 로봇 청소기 ✅ 상용화 2002년 이후 AI 기반 로봇 상용화 진행 중
🎓 원격 학습 ✅ 상용화 2020년 이후 팬데믹 이후 인프라 정착
🏥 원격 진료 🔶 부분 상용 한국 기준 2026~27년 시범사업 중, 법제화 논의
🍳 스마트 부엌 🔶 부분 상용 2030년경 IoT 가전 상용화, 보급 확대 중
🌕 달 수학여행 ❌ 미상용화 2040년 이후 우주관광 초기 단계, 고가

🧠 기술별 상세 구현 근거

1. 태양열 발전 주택


2. 전기 자율주행차


3. 스마트폰 (소형 TV전화기)


4. 전파신문


5. 움직이는 도로


6. 로봇 청소기


7. 원격 학습


8. 원격 진료


9. 스마트 부엌


10. 달나라 수학여행


(김유정) 과거의 상상이 지금 현실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상상 이상의 시대를 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5년도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현재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에서 더 나아가 앞으로 살아갈 미래에 대한 상상을 끊임없이 하는 진취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종현) 1965년대에 생각했던 부분 중 대다수의 기술들이 현재 실현된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몇 개는 실현되지 않았고, 또 몇 개는 일상에 완전히 녹아들지는 못한 것 같다. 조금만 더 노력하면 충분히 일상생활에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권민재) 과거 사람들이 상상만 했던 일들이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현실이 된 것을 보면서 신기했고 또 앞으로 상상하는 것들이 충분히 미래에 이뤄질 수 있다는걸 느꼈다. 이와같이 세상은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어날 수많은 변화들에 잘 적응함으로써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나아가야한다고 생각한다. (김하연) 90년대 인터넷이 막 보급되던 시기에 사람들의 창의력으로 그려낸 미래상이 지금의 현실과 겹쳐 보이는 것이 신기했다. 특히 우리가 당연하게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코로나 시절 자주 사용한 원격 학습을 이미 예측해 표현한 부분이 인상 깊었다. 미래에 대한 상상력이 실제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데, 그림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보니 상상력으로 미래를 그리는 게 허망하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동시에 아직 실현되지 못했거나 다른 방향으로 발전한 부분도 있어, 이걸 실현한 미래의 모습이 기대가 된다.

✅ Team Mission 2: 과거의 상상이 현재가 된 순간들

우리는 과거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보며, 현재 실현된 기술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그 의미를 되새겨보았습니다.


📽️ Microsoft Future Vision – 2011


📺 현실이 된 90년대의 상상


🧪 유리와 함께 하는 하루 2: Corning의 미래 유리 기술


🧠 종합 정리

과거의 상상이 단지 공상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의 기술과 생활 속에서 실현되고 있습니다.

상상의 현실화 – 그들이 만들어 가는 세상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 Why?

디지털 기계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디지털 환경을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즉, 디지털 기술을 더 자연스럽고 무의식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 What?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기 없이도 디지털 세상을 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고자 했다.
이를 통해 현실과 디지털의 경계를 허물고,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자 했다.

• How?


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는 어떤 방식으로 변화되었는가?

• 키보드

• 마우스

• 모니터

💡 이처럼 입력과 출력 장치는 모두 현실 세계를 인터페이스로 삼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MIT Sixth Sense Project 팀의 연구가 현재에는 어떻게 구현되었는가?


✅ 정리

MIT Sixth Sense 프로젝트는 현실과 디지털 간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 핵심은 디지털 기기를 줄이고도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정보에 접근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러한 철학은 현재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으며,
사람과 기술이 더욱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미래를 위한 중요한 기반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4️⃣ 인상 깊은 활동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Image](src)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