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on GitHub

eureka-251-team-e25-sw01-04

2025-2-1-eureka-template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view Assignment Due Date

Welcome to 4팀

1️⃣ 팀원 소개

이름 전공 관심사
이지수 소프트웨어전공 인공지능, 프론트엔드, ROS
강민지 소프트웨어전공 프론트엔드
나윤서 소프트웨어전공 보안
김도균 소프트웨어전공 백엔드
김준형 소프트웨어전공 백엔드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 생성을 축하합니다. 유레카프로젝트 프로젝트 팀의 제목과 팀원의 이름 및 관심사를 변경하세요.

팀 슬로건

“Hello World에서 시작해, 미래를 만든다”

ㄴ작은 시작에서 출발해 세상에 변화를 주는 결과물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담아 이 슬로건을 선택하였습니다.

팀 소개

이지수 : 소프트웨어 학부생, 28살, 4학년, 인공지능, 자율주행자동차(ROS) 관심 있음

강민지 : 소프트웨어 학부생, 22살, 1학년, 웹 개발자쪽에 관심이 있음

나윤서 : 소프트웨어 학부생, 20살, 1학년, 보안쪽 관심이 있음


2️⃣ 공통된 관심사 : 여행,음악

팀원의 공통된 것 : 소프트웨어대학 학부생 ***

3️⃣ 한학기 동안의 활동 내역

9/19

#1. 1965년, 서기 2000년대의 생활의 이모저모 관련 토의 현재 실현된 기술은? 아래 10개 모두 실현다고 볼 수 있지만 상용화 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거 같다.

  1. 태양열 발전 주택
  2. 전기자율주행차
  3. 소형TV전화기
  4. 전파신문
  5. 움직이는 도로
  6. 로봇 청소기
  7. 원격 학습
  8. 원격 지료
  9. 스마트 부엌
  10. 달나라로 수학여행

#2. 과거 사람들이 생각한 미래

  1. Microsoft Future Vision - 2011 스마트 카드; 전자 신분증 ,여권도 실제로 휴대폰으로도 가능한 것으로 보면 충분히 상용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과거 사람들이 생각한 미래 영상을 보며 느낀점: 하늘 나는 자동차가 실제로 30만 달러로 존재하지만 상용성이 떨어진다고 생각이 들고 아이패드, 스탠바이미, 사이버가수등 실제로 있는 것을 보며 흥미로웠다
  3. 코닝 비전의 비하인드 스토리 이음새 없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강조하는 영상, 의료 기술에도 이런 식으로 기술이 상용화 된다면 매우 좋을 거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네비의 역할을 하는 부분은 충분히 빠른 시일내에 대중적으로 상용화 될 거 같다 라는 생각을 하였다

#3. 느낀점 스마트 미러; 다른 나라 사람들과 거울을 통해서 소통하고 재밌게 노는 모습을 보면서 매우 흥미롭게 바라본 거 같다. 낯선 기술들도 현재 프로토타입들이 보이는 점이 신기하였다 원격 학습 이런 것들이 너무 상용화가 잘 되어 있다 보니 좋은 점이 있지만 사람들과 사람들간의 접촉이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점이 아쉬운 거 같다

9/26

#1. MIT Sixth Sense 연구팀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2. AS-Is vs To-Be는 어떻게? 기존 컴퓨터의 입력, 출력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경하였나요??

#3. MIT Sixth Sense Project 팀이 만든 내용이 현재에는 어떠한 장비로, 어떻게 구현이 되었을까? 현재의 기술과 약 15년 전에 MIT에서 진행한 기술의 발전 모습은?

  1. 디스플레이 방식 SixthSense는 가슴에 단 피코 프로젝터로 손이나 벽에 화면을 비췄지만, 지금은 머리에 쓰는 헤드셋형 공간 디스플레이나 도파관 방식 스마트글래스로 발전했다. 프로젝션 방식은 밝기와 전력, 초점 문제로 주류가 되지 못했다.

  2. 입력 방식 예전에는 손가락에 색점을 붙여 제스처를 인식했지만, 지금은 시선 추적과 손가락 동작만으로 명령을 수행한다. 마커 없이 작동하는 비전 인식 기술이 정밀해져 자연스러운 조작이 가능해졌다.

  3. 카메라·인식 구조 과거에는 카메라 한 대로 제스처를 인식했지만, 현재는 여러 개의 카메라와 거리 센서가 동시에 작동해 공간을 3차원으로 인식한다. 센서 융합 기술 덕분에 정확도와 반응 속도가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4. 사용 맥락 SixthSense는 임시 표면에 화면을 띄우는 방식이었지만, 지금은 현실 공간 전체를 디지털 창으로 전환하는 구조로 바뀌었다. 사용자는 사물 위가 아니라 공간 자체에서 정보를 다룬다.

  5. 프라이버시와 보안 과거에는 주변 사람들에게 화면이 그대로 노출됐지만, 지금은 시선과 홍채를 이용한 개인 인증과 보안 모듈이 적용되어 있다. 눈으로만 조작하는 방식이 개인정보 보호 면에서 훨씬 안전하다.

10/10

2040 또는 2050의 모습 상상하기

테마 : 스마트 시티

  1. 물류
    • 드론 배달
  2. 교통
    • 무인 택시 <- 자율주행 바탕
    • 하늘 나는 이동수단
  3. 걸치는 휴대폰
    • 안경이나 콘텍트 렌즈 형태의 휴대폰/ 감정 읽기/네비
  4. 스마트홈
    • 세탁기+건조기가 날씨를 고려해 세탁 정도 결정!
  5. 책상 = 스크린으로 교체
    • 선생님과 함께 실시간 문제 풀이 진행
    • 영상 강의 시청


4️⃣ 인상 깊은 활동


5️⃣ 특별히 알아보고 싶은 것


6️⃣ 활동을 마친 소감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학번 이름

“소감 내용을 여기에 작성합니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내용꾸미기를 익히세요.

Markdown은 작문을 스타일링하기위한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구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을위한 규칙이 포함됩니다.

Syntax highlighted code block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Bulleted
- List

1. Numbered
2. List

**Bold** and _Italic_ and `Code` text

[Link](url) and ![Image](src)

자세한 내용은 GitHub Flavored Markdown.

Support or Contact

readme 파일 생성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말 이나 contact support 을 이용하세요.